청와대 미남석불(경주 방형대좌 석조여래좌상)은 110여년이나 구중궁궐에 위리안치(圍籬安置)돼 영어의 몸으로 속세와 인연을 끊고 뭇 중생들을 내려 보면서 고향 경주를 그리워하고 있었다. 지난달 5월 25일 인왕산 중턱에 있든 경주 석조여래좌상은 경주인 20명을 만나 반가움을 전하면서 하루라도 빨리 내 고향 경주로 가기를 하소연하면서 울고 있었다.  지난달 5월 25일 05시 경주문화재 제자리찾기 시민운동본부 김윤근 대표와 박임관 경주학연구원장의 주선으로 경주시 사회단체장 20여명은 청와대 경내에 있는 경주 방형대좌 석조여래좌상(보물 제1977호)을 경주에 되돌려 받고자 용산 윤 대통령에게 청와대 미남석불 경주반환 청원서 전달과 석조여래좌상이 안치된 현장을 체험하고자 버스편으로 경주를 출발했다.  용산 대통령 집무실 입구에서부터 차단을 당하자 `윤석열 대통령님 청와대 공간은 국민품으로, 청와대 불상은 경주품으로!`, `청와대 미남석불 이제는 고향 경주로 가입시더!` 등의 현수막을 들고 30분간 구호 제창 후 `미남석불 경주반환 청원서`를 전달했다. 동 자리에는 국내 불교계 등 언론사 기자 10여명이 취재했다.  청와대에서 경주 방형대좌 석조여래좌상(보물 제1977호)을 보려면 청와대 본관 우편을 돌아 경사진 도로를 따라 한참 가다 보면 미남석불이란 작은 이정표가 있다. 여기서 200여 계단을 숨 가쁘게 올라가 미남석불을 친견했다. 흔히들 말하기를 청와대 뜰에 안치돼 있다고 말하지만 인왕산 중턱에 좌정하고 있다. 권력이 있을 때는 외진 산기슭에서 오가는 사람 없이 뭇 중생들의 슬픈 역사를 바라보고 있었을 것이다.  경주 석굴암 부처님과 흡사 닮은 미남 석불(석굴암 부처님의 1/3크기)은 경주인에게 반가운 인사를 하는 듯 애잔한 미소를 지으면서 나를 빨리 고향 경주로 가도록 하여 달라는 모습이다. 윤석열 대통령의 지시로 `청와대가 국민의 품으로` 돌아온 후 경주 방형대좌 석조여래좌상(보물 제1977호)이 경주로 제자리 찾기운동 일환으로 오늘 용산 대통령집무실과 이곳에 친견한 것이다.  일제 강점기 때 경주금융조합 이사로 있던 고다이라 료조가 경주 이거사(利車寺) 터에서 무단 반출하여 자기 집 정원에 두고 있다가 1913년 초 초대 총독 데라우치 마사타케에게 환심을 사고자 남산의 총독관전로 상납한 것이 일본으로 반출되지 못하고 오늘날까지 청와대에 미남석불로 좌정하고 있다.  불교계는 현시점에서 경주 방형대좌 석조여래좌상(보물 제1977호)을 경주로 모시는 것을 시기상조라며 반대한다. 경주시민이 경주 방형대좌 석조여래좌상(보물 제1977호)을 경주로 모셔 오는 열렬한 열망에 찬물을 끼얹는 것이 바로 불교계다.  법보신문 제1634호(2022년 6월 1일) 1면과 6면 기사에서는 `청와대 불상 경주 이전 논란에 불교계 시기상조` 제하로 신중론에 무게를 둠으로 작금 경주만 몸부림치고 있음을 단편으로 보여주는 현실로 이전은 첩첩산중(疊疊山中)이다. 필자의 생각은 경주 방형대좌 석조여래좌상(보물 제1977호)을 경주로 모셔오기 위해서는 시민연대와 시와 의회와 국회의원이 치밀한 계획에 의해 시민연대가 앞장서서 불교계와 정부와 상호 유기적협력체제(有機的 協力體制)로 석조예래좌상을 되돌려받기운동을 전개한다고 생각했다. 막상 현실에서 부딪쳐보니까 그렇지 못하고 있는 것 같다.  경주 방형대좌 석조여래좌상이 서울시 문화재로 등록돼 있을 때는 서울시와 협조하면 가능했다. 2018년 4월 12일 보물 제1977호로 지정되었고 관리가 정부 부처로 이관되었기 때문에 이제는 정부와 협력하고 여기에 불교계의 호응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법보신문이 시기 상조라고 말했다.  모든 것은 때가 돼야 일이 성사된다. 모든 것은 그것이 이룩되는 때가 있다. 아직 때가 되지 않았는데, 이룩되기를 바라는 것은 실패를 자초하는 길이다. 보름이라는 정해진 시간이 차야만이 달은 둥근달이 된다. 아무리 봄 햇살이 따사로워도 어느 시간이 흐르고 또 때가 돼야 꽃이 핀다.  경주 방형대좌 석조여래좌상(보물 제1977호)을 경주로 모셔 와야 한다. 다시 원점에서 추진한다는 마음으로 정부나 불교계 등 관계기관과의 사전협조 문제와 사업추진의 주(主)단체와 국회의원과 시장과 시의회의 책임 역할이 분담된 세밀한 틀을 짜고 여기에 예산까지 포함한 시민들의 적극적 호응도가 성공의 관건이 될 것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