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산시는 압독국 문화유산 연구·활용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실시한 고인골과 동물뼈의 안정동위원소 분석 결과, 고대 경산사람들의 식생활을 복원해 계층별로 식단이 달랐다는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한양대학교 최경철 교수와 영남대학교 박물관 김대욱 박사 등은 2022년 12월 ‘한국고고학보’에 ‘조영동고분군 출토 인골과 동물뼈 분석을 통한 고대 경산지역의 계층별 식단 복원’이라는 제목의 논문에서 고인골과 동물뼈의 안정동위원소 분석을 통해 고대 경산사람들은 계급별로 다르게 음식을 섭취했음을 밝혔다.   1500년전 경산사람들은 다양한 식재료를 골고루 섭취했는데 현재 우리 식단과 비슷한 쌀, 보리, 콩 등의 C3계 식물군을 주로 섭취했고, 야생조류(꿩, 기러기, 오리 등)와 육상동물(말, 소, 돼지 등), 해양동물(상어, 방어, 복어, 패류 등)로 주로 단백질을 섭취했다는 것이 밝혀졌다. 특히 야생조류의 소비가 월등히 높았으며, 해양동물의 소비도 상당히 높았음을 확인했다. 이러한 음식 소비패턴은 당시 농업에 기반을 둔 사회였음에도 야생조류의 사냥행위와 어패류의 어로 활동이 매우 중요했고 다양한 종류의 식재료를 내륙인 경산까지 조달할 수 있는 체계적인 물자 유통시스템을 갖추고 있었음을 추측해 볼 수 있다. 또한 성별, 연령, 무덤 종류에 따라 식단이 달라지는 것이 아니라 신분에 따라 식단이 차이를 보이는 것을 확인했는데, 높은 신분의 주피장자와 낮은 신분의 순장자 간에 섭취하는 음식에 차이를 보였다. 높은 신분의 주피장자는 꿩과 기러기 같은 야생조류와 상어, 방어, 복어 등 해양성 어류 등을 주로 섭취했지만 낮은 신분의 순장자는 야생조류와 쌀, 보리, 콩 등의 C3계 식물과 육상초식동물을 주로 섭취해, 해안에서 조달한 어패류는 높은 신분의 주피장자들만 섭취할 수 있었던 상징적 음식물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고대 경산의 압독 사회는 신분에 따라 음식의 제한이 있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엄격한 신분제 사회로 여겨지는 조선시대의 경우 출토 인골의 분석 결과 신분에 따라 식재료의 차이는 크게 보이지 않았다는 점에서 삼국시대 압독 사람들은 사회적 지위의 구분이 명확했고 이 기준에 따라 음식의 종류마저도 구분하는 사회였다고 추정했다. 경산시 관계자는 고인골과 동물뼈 분석을 통해 고대 경산사람들의 식단을 복원한 것은 상당히 뛰어난 결과로 앞으로 압독국 문화유산 연구·활용 프로젝트를 지속적으로 추진해 그 결과를 현재 건립공사가 진행 중인 임당유적전시관에 반영해 전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한편 압독국 문화유산 연구·활용 프로젝트는 경산의 고대국가 압독국 고분에서 출토된 고인골과 동식물 자료를 연구하고 활용하기 위해 경상북도의 지원을 받아 2019년부터 영남대학교박물관과 업무협약을 맺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임당유적에서 발굴조사된 고인골과 동식물 자료를 인골분석과 고대 경산사람의 얼굴복원, DNA분석 등을 영남대학교박물관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생명과학부, 세종대학교 역사학부,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국립과학수사연구원, 독일 막스플랑크 인류진화연구소 등과 공동연구를 실시해 고대 경산사람의 얼굴을 5명째 복원했고, 고인골자료집 및 동식물자료집 등 자료집 3권과 고인골 단행본 1권을 발행하는 등 다수의 연구성과를 만들어 내고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