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자는 한마디로 경주 방폐장이 활성단층대위에 세워진 사실을 왜 숨기려하는지 묻고 싶다. 이에 반박하는 자는 지질학적 지식이 없는 무능자로 볼 수밖에 없다. 사실을 사실대로 인정한 후에 방폐장의 안전성에 논하는 것이 원칙이다. 활성단층대를 두고 안전하다고 우기는 것은 소가 들어도 웃을 일이다. 안전성을 갖고 논하다 보니까 경주 시민들은 국가정책 사업으로 추진 중인 방폐장에 상당한 불신을 갖고 있는 것도 엄연한 사실이다. 이 지구상에는 인간이 만든 것이나 자연의 산물이던 100%의 안전성을 갖고 있는 구조물은 없다. 이것은 진리고 역사적 증명의 사실적 확인이다. 시간이 지나 얼마나 빨리 무너지느냐가 문제일 뿐이다. 한국원자력환경공단(이하 공단)은 "원자력안전위원회가 지난 8월 21일 방폐장부지내에는 활성단층이 존재하지 않으며, 부지 내 존재하는 소규모 단층은 안전하게 설계와 시공을 마친 만큼 안전성은 문제가 없다"고 발표했다며 열심히 홍보하고 있다. 공단은 이를 갖고 연일 시민들에게 홍보자료로 활용하는 등 해명에 바쁘다. 공단은 "규제기관인 원자력안전위원회가 부지 내에 활성단층이 없음을 입증했고 충분한 안전성 검토를 거쳐 그 결과를 토대로 규제기관의 승인을 받았다"며 방폐장 안전 강조에 동분서주하고 있다. 하지만 경주핵안전연대는 견해가 다르다. 핵 연대는 성명서에서 "지난 13일 양북면복지관에서 개최된 방폐장 쟁점 전문가 토론회에서의 핵심은 활성단층 존재여부였다. 원안위가 방폐장 부지내 활성단층은 없다고 강하게 주장하고 있으나 이를 뒷받침할 논거를 제시하지 못해서 결과적으로 안전성 입증에 실패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경주발전협의에서도 1일 수만여톤의 물이 방폐장(터널)에서 분출되며, 8년간 5차례의 설계변경, 48개월의 공기연장, 2천여억 원의 공사자금이 현재 6천여억 원으로 늘어난 사실과 거액의 부정한 돈으로 관계자들을 입막음을 한 사실에 규명을 요구하고 있다. 이는 방폐장의 위치 선정이 처음부터 잘못된 선정과정과 위험성을 잘 보여주는 실증으로 결국 방폐장공사는 처음부터 비정상으로 출발했으며, 자신 있고 떳떳하면 폐기물처리장을 일반 시민들에게 개방하여 떠도는 비난을 불식시킬 필요성이 있다. 공단은 일부 특정인들에게만 공개하고 시민들에게 개방하지 않아 방폐장에 대한 불신과 불만이 팽배해 질 수 밖에 없다. 방폐장이 잘못되면 그 피해는 경주시민은 물론 이웃 대도시인 울산과 포항에도 상당한 영향을 줄뿐만 아니라 살아 있는 모든 생명체에게 치명적인 타격을 입혀 대혼란을 가져다준다는 사실을 왜 모르는가. 김대중 정권 당시 과기부장관이 원성원자력이 있는 양남면과 양북 일대를 시찰하면서 특히 석천·석읍 단층지대를 관찰하고 "이곳은 양산지층대가 지나가는 곳이기 때문에 원자력발전소나 이와 유사한 위험시설물을 건축하여서는 안 된다"고 말한 것이 기억난다. 그 당시 지질학계도 이에 동의한바 있다. 방폐장이 의문에 의문을 더해 심각한 사회문제의 한 단면을 보여주는 좋은 사례가 될까 걱정이다. 더 늦기 전에 시민들이 납득할 수 있는 시원한 해법이 제시되기를 기대해 본다. 장 춘 봉경주발전협의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