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급출동, 구급출동! 다급한 마음에 지령서를 확인해보니 낯이 익다. 몇 번이나 이송해주었던 교통사고 전신마비 환자의 단순병원이송이었다. 이 환자를 구급차에 싣고 병원 이송을 해주던 중, 또다시 출동 무전이 들려온다. 현재 병원 후송 중인 관계로 교통사고 출동이 늦어졌다. 이번 사고 현장은 3중 충돌 교통사고, 이 사고로 귀중한 생명을 구할 수 있었는데 사고 현장에서 과다출혈로 어린이 1명이 사망하는 안타까운 현실이 벌어졌다. "야 이 양반들아!! 애가 20분 동안을 끼여서 엄마를 찾았어!! 니들이 119야!!"하며 주변사람들의 목소리가 귓전에 그날따라 더 크게 들린다. 현장에 늦게 도착한 119구급대는 주변사람들의 원성과 욕을 모두 감당하지만, 그 중 한 마디에 크나큰 상처를 받곤 한다. 2013년도 기준, 서울 시내 119구조대의 출동 건수를 분석한 결과 전체의 44%, 충남의 경우 구조·구급대 현장출동건수의 80%, 포항은 67%가 비응급 상황이었다고 한다. 이러한 통계들이 말하고 있는 것이 현 소방출동의 상황이다. 현재 비정상의 정상화를 위한 실천과제 중 '비응급환자 등 119구급차 이용관행'개선을 위해서 여러 가지 소방정책을 시행 중이다. 끊임없이 언론 등에 홍보를 하고 목소리 높여 비응급환자 개선을 외치지만 현실은 나아지지 않고, 자기편의를 위한 부름을 당연시 여기는 모습들이 늘어나고 있다. 대부분의 비응급 신고자들은 자신의 상황이 구급 출동이 꼭 필요한 상황이라고 판단하고 신고를 하는 경우가 다반사다. 하지만 냉철하게 판단하는 것이 타인에 대한 배려가 아닐까? 모든 소방공무원들은 원한다.국민들에게 있어서 꼭 필요한 존재가 되기를, 또한 국민들에게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해줄 수 있기를, 국민의 소중한 생명 하나라도 내 손으로 지켜낼 수 있기를… 굳이 소방정책이 아니더라도 신고자 스스로가 119 다이얼을 누르기 전에 혹시 모를 응급상황의 내 가족, 내 친구, 이제는 안타까운 내 주위 사람까지 생각하는 아름다운 마음이 필요할 때가 아닌가 싶다.노 정 은구미소방서 인동119안전센터 지방소방사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