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끊임없는 비리천국으로 수없이 사법처리되는 불상사가 있었음에도 재개발·재건축사업 비리가 여전히 성행하거나 조짐을 보이고 있는 것은 심각한 문제가 아닐수 없다. 과거에도 그래왔지만 현재 구미공단 4주공아파트(비산동)에서 벌어지고 있는 재개발 지역의 조합장과 임원, 조합원 간에 조합장의 업무추진비, 복리후생비 부당지급, 사업추진공개, 시공사와 설계 컨소시엄 일괄 선정을 놓고 갈등을 빚으며 고소·고발, 심지어 폭행이 오가는 배경에는 현행 재개발사업의 모순이 도사리고 있기 때문이다. 기자가 취재한바에 따르면 구미공단 4주공아파트 재개발 박 모 조합장과 비대위(비상대책위원회)임원측은 재개발 사업을 놓고 박 조합장의 시공사, 설계사 일괄 컨소시엄 선정부터 조합장의 업무추진비 과다지출사용 등을 둘러싼 갈등의 우려가 현실로 나타나고 있다. 또한, 구미 공단4주공아파트 비대위측에 따르면 지난 7월14일 밤11시에 박 조합장의 사주를 받은 청년2명이 임시사무실에 들이닥쳐 강모 사무장에게 폭력을 행사해 사건이 발생했다는 것. 비대위측(위원장 김선동)은 지난 17일 박 조합장을 업무추진비 부당사용 혐의로 경찰에 고소를 한 상태다. 이 같은 마찰음이 시작되면서 지난 11월7일 비대위측(위원장 김선동)은 임시총회를 열어 박 조합장을 해임안을 가결시키는 등 갈등의 골이 깊어지고 있다. 그동안 재건축·재개발사업이'비리백화점'으로 전락한 면면을 보면 조합 임원과 조합장 등 물론 여기에 전문 브로커들의 잘못된 공생에서 비롯됐다는 점에서 구미공단 4주공아파트 재개발지역에서도 같은 전철을 밟지 않을까 우려하지 않을 수 없다. 구미공단 4주공아파트 재개발 비대위는 지난 2014년 4월에 정식출범하였고, 총428세대(상가8세대포함) 조합원 362명으로 구성되어 시공사가 현재 선정되어 있다. 특히 구미공단4주공아파트 재개발에서 컨소시엄 사업단만 입찰을 받은 것은 밀약 의혹마저 제기되고 있다는 개연성이 크다고 할 것이다. 재개발사업은 당국이 인·허가를 내주지만 사업 추진은 민간에서 하다 보니 일부조합임원들이 전횡을 부려도 제어할 수 있는 장치가 없다. 재개발조합치고 내분 없는 곳이 없고 비리없는 곳이 없다는 지적이 이래서 나오는 이유다. 조합원 A씨는"재산이 변동하는 주요 사안이고 사업추진내용, 업무추진비를 공개해 공람시켜야 함에도 조합의 일방통행식 업무추진은 문제가 있다 "고 꼬집었다. 지금이라도 재개발과정의 문제점을 직시하고 구미시의 철저한 관리·감독과 조합임원 관계자들의 개혁이 필요할 때다.
손 창 익중부 본부 취재본부장(구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