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감정원(원장 서종대)이 지난 26일 협력공인중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금리인하후 주택시장 동향과 향후 전망’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설문조사는 지난 12일 추가 금리인하에 따라 역대 최저수준의 기준금리로 인해 향후 주택 매매, 전세, 월세시장을 전망하기 위해 실시됐다. 전국의 한국감정원 협력중개업소를 대상으로 부동산시장동향 모니터링 시스템을 활용한 온라인 조사로 진행됐으며 협력공인중개사 375명이 응답했다.설문조사결과 금리인하에 따른 향후 주택매매시장의 거래량은 임차에서 매수로의 전환한 거래량 증가(64.8%), 투자수요 목적의 거래량 증가(12.5%), 금리인하 전 거래량 유지(12.5%), 가격상승 부담으로 거래량 감소(5.9%), 가계부채 우려로 매수 거래량 감소(2.7%), 기타 순으로 나타났다.향후 주택매매가격에 대해선 실거래가격상승(42.4%), 호가만 상승하고 실거래가격 상승까지는 이어지지는 못할 것(40.0%), 금리인하전 수준 유지(10.9%), 가격상승 부담으로 매수수요가 뒷받침되지 못해 호가 하락(5.9%), 실거래가격 하락(0.3%), 기타(0.5%, 완만한 상승후 안정) 순으로 응답, 가격상승을 전망하는 응답이 가장 높으나 더딘 경기회복과 가계부채 등의 영향으로 매우 낙관적으로 내다보지는 않았다. 집주인들의 보유 전세주택에 대한 향후 움직임에 대해서는 반전세로의 전환(48.8%), 보증부월세로의 전환(38.1%), 가격상승을 기대해 처분(8.5%), 전세거래 유지(4.3%), 기타(0.3%) 순으로 응답, 월세전환 응답이 전체의 86.9%로 금리인하로 전세의 월세전환이 보다 가속화될 것으로 전망됐다.향후 월세가격에 대해선 월세 전환 매물 증가로 월세가격 하락(48.3%), 금리 인하 이전 수준 유지(26.4%), 전세가격 상승에 따라 월세가격 상승(23.5%), 기타 순으로 나타났다.한편, 금리 인하에 따른 매도의향자의 동향에 대해 시장관망 및 매물회수(65.0%), 매수수요 증가 예상으로 이 기회에 보유주택처분(22.7%) 순으로 응답했고, 매수의향자는 낮은 이자부담을 기회로 삼아 적극 매수(55.7%), 관망세로 전환(28.5%), 순으로 응답했다. 김범수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