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 매매 및 전세 가격이 상승세를 이어갔다. 한국감정원은 4월중 국주택가격동향을 조사한 결과 매매가격이 전월대비 0.43%↑ 전세가격은 0.59%↑ 로 오름폭이 커졌다고 30일 밝혔다.매매가격은 전세에서 매매로 전환하려는 실수요자 중심의 매매전환 수요가 꾸준히 이어지면서 중소형 단지를 중심으로 상승했다. 수도권은 0.55%, 지방은 0.31% 올랐다. 지역별로는 광주가 혁신도시와 KTX 개통에 힘입어 1.06% 뛰어올랐다. 대구(0.87%), 경기(0.60%) 등도 평균치를 웃도는 상승률을 기록했다. 서울은 0.51%의 오름세를 기록했다. 강동(1.30%), 노원(1.19%), 서초(0.81%), 강남(0.78%), 광진(0.56%) 등이 상승을 주도했다.유형별로는 아파트가 0.64%, 연립주택은 0.17%, 단독주택은 0.03% 상승했다. 단독을 제외한 모든 유형에서 상승폭이 확대되고 있다. 서울 아파트 매매가를 규모별로 보면 '60㎡ 이하'가 0.92% 올랐고, '60㎡ 초과 85㎡이하'도 0.77% 올라 중소형이 상승세를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102㎡ 초과 135㎡ 이하'(0.58%), '85㎡ 초과 102㎡ 이하'(0.54%), '135㎡ 초과'(0.37%) 등의 순으로 오름폭이 컸다.전세가격은 집주인들의 월세 선호 증가 현상에 따라 여전히 매물 부족현상이 심화되고, 봄철 막바지 이사 수요가 몰리며 전월보다 0.59% 상승했다. 상승폭도 전월(0.43%)보다 확대됐다. 서울은 0.80%, 수도권은 0.87% 상승하며 전셋값 상승세를 주도했다.서울 재개발·재건축단지 이주에 따른 영향으로 강남권(0.97%)은 물론 하남시(2.82%) 등 인근 경기지역으로까지 전세가격 상승세가 확산됐다. 지방은 0.34% 올랐다. 매매시장 상황과 마찬가지로 광주(1.05%), 경기(0.95%), 대구(0.89%), 서울(0.80%), 인천(0.78%) 등에서 큰 폭의 상승세를 기록했다. 세종(-0.03%)은 공표지역 178개 시·군·구 중 유일하게 하락세를 나타냈다. 유형별로는 아파트 0.92%, 연립주택 0.19%, 단독주택 0.01%씩 각각 상승했다.4월 전국 주택의 매매가격 대비 전세가격 비율은 63.5%로 전월에 비해 0.1%포인트 상승했다.감정원 관계자는 "중소평형 중심의 매매가격 상승세는 지속되고 있지만 봄철 이사 성수기가 마무리됨에 따라 매매가 상승폭은 다소 축소될 전망"이라며 "전세가격 상승세도 다소 주춤해질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김범수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