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기업의 연구개발(R&D) 투자 효율성이 일본, 중국 등 동아시아 경쟁국에 비해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일본 기업들은 2010년 이후 R&D 투자 효율성을 높이며 경쟁력을 회복 중이고, 중국은 R&D 투자 증가율면에서 경쟁국들을 압도하고 있다. 21일 현대경제연구원은 2010~2014년간 한중일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전산업과 전세계산업분류(GICS) 기준에 따른 8대 산업의 R&D투자 효율성을 비교한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전산업의 경우 한국 상장기업들은 평균 R&D 투자 규모면에서 일본에 뒤지고, 투자 집중도도 중국에 밀렸다. 한국 전산 기업의 평균 R&D 규모는 2014년 9220만 달러로 일본 1억 3440만 달러의 68.6% 수준에 불과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반면 중국 기업의 평균 R&D 규모는 4410만 달러로 한국 기업의 절반 수준에 그쳤지만, 집중도 면에서는 2009년 0.015배에서 2014년 0.031배로 연평균 20.4% 증가하며 한국(7.3%)과 일본(-1.0%)을 추월했다.  더 큰 문제는 한국기업들의 R&D 투자 효율성도 일본과 중국에 미치지 못한다는 점이다. 한국기업의 지난해 평균 무형자산 규모는 1억 6530만 달러로 일본(3억 5220만 달러), 중국(1억 7240만 달러)에도 못 미쳤다. 최근 5년간 무형자산 증가율 속도면에서도 중국(28.9%), 일본(14.0%)에 뒤쳐져 11.8%에 그쳤다. 평균 R&D투자 대비 무형자산 비율은 중국(29.7배), 일본(22.1배)보다 훨씬 낮은 11.8배를 기록했다.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본부 정민 선임연구원은 "일본의 R&D대비 무형자산과 R&D대비 시가총액 비율 모두 2010년에 비해 약 2배 증가한 반면 한국의 R&D 투자 효율성 개선 정도는 대체적으로 중국과 일본 수준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전세계산업분류(GICS) 기준에 따른 뀬건강관리 뀬기본 소비자 식료품 뀬에너지 뀬원자재 뀬자유 소비재 뀬전기 통신 서비스 뀬정보 기술 뀬기타 산업 등 8대 산업 역시 상황은 마찬가지다. 평균 R&D 투자 규모면에서 한국이 우세를 보인 것은 기타 산업, 정보기술 등 2개 부문뿐으로 에너지(중국)를 제외한 나머지 5대 부문은 일본이 한국과 중국에 앞섰다. 반면 최근 5년간 R&D 투자 연평균 증가율을 놓고 보면 한국은 기타 산업, 에너지 등 2개 부문만 우위를 보였고, 나머지 6개 부문은 모두 중국이 우세한 양상을 보였다. 정 연구원은 "국내 기업들의 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 정부가 투자 효율성 향상을 유도하고 법제도 정비와 정책적 노력이 시급하다"며 "기업들도 경쟁력 강화를 위한 혁신 전략을 마련, 적극 실천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