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목월의 중기 시는 시집 '난·기타'와 '청담'에 발표된 시가 중심이 되며, 일상사와 주변 이야기, 가정과 생활을 소재로 한 시가 주류를 이룬다. 중기 시에 나오는 인생의 문제는 시대적 상황과 독자와의 거리를 좁혀야 한다는 인식에서 출발한 것이다. 그는  6.25전쟁을 거치면서 비근한 일상사가 생의 근원적 문제가 되며, 주변의 이야기가 가장 훌륭한 시적 요소가 된다는 것을 새롭게 인식한다. 靑馬는 가고 / 芝薰도 가고 / 그리고 洙暎의 永訣式 / 그날 아침에는 이상한 바람이 불었다 / 그들이 없는 / 서울의 거리 / 靑馬도 芝薰도 洙暎도 / 꿈에서조차 나타나지 않았다 / 깨끗한 潛跡 / 다만 / 鐘路二街 / 버스를 내리는 斗鎭을 만나 / 白路上에서 / 몇 마디 이야기를 나누고 / 어느 젊은 詩人 / 出版記念會가 파한 밤거리를 / 南秀와 거닐고 / 宗吉은 어느 날 아침에 / 전화가 걸려왔다. ('日常事'의 전연) 하나씩 둘씩 사라지는 소중한 문단 친구들을 기억하면서, 목월은 인간들이 경험하고 있는 일상사(日常事)를 삶의 근원적 의미를 찾는 시적 체험으로 변용한다. 삶의 허망함과 살아있다는 존재 의식을 새로운 의미의 시로 형상화 한다. 청마와 지훈과 수영이 가고 없는 "깨끗한 잠적(潛跡)"의 서울의 거리에는 옛날과 변함없이 출판기념회가 개최되고 아직도 살아 있는 南秀와 宗吉과의 관계는 계속된다. 이것이 바로 현장의 삶이며 시의 현실이다. 박목월은 정부수립 이후 6.25전쟁을 비롯한 여러 가지 사건을 겪으면서 주변에서 일상의 문제와 연계되는 생활과 역사의 현장을 시로 변용하여 독자들의 주목을 받았다. 목월을 '생활의 시인'이라고 지칭하는 것은 목월의 시를 전체적으로 살펴볼 때 다소 무리가 있는 지적처럼 들린다. 그러나 목월이 생활의 현장에 들어가서  소중한 시적 체험으로 승화한 작업들은 시의 대상이 초기 시와는 상당히 달라져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지상(地上)에는 / 아홉켤레의 신발. /아니 현관에는 아니 들깐에는 / 아니 어느 시   인의 가정에는 / 알 電燈이 켜질 무렵을 / 문수(文數)가 다른 아홉켤레의 신발을.  //  내 신발은 十九文半. / 눈과 얼음의 길을 걸어 / 그들 옆에 벗으면 / 六文三의   코가 납작한 / 귀염둥아 귀염둥아 / 우리 막내둥아. // 미소하는 / 내 얼굴을 보아   라 / 얼음과 눈으로 벽을 짜올린 / 여기는 地上. 연민(憐憫)한 삶의 길이여. / 내    신발은 十九文半. // 아랫목에 모인 / 아홉 마리의 강아지야 / 강아지 같은 것들아.   / 굴욕과 굶주림의 추운 길을 걸어 / 내가 왔다. / 아버지가 왔다. / 아니 十九文半   의 신발이 왔다. / 아니 地上에는 / 아버지라는 어설픈 것이 / 존재한다. / 미소하   는 / 내 얼굴을 보아라. ('가정' 의 전체) 나이 오십 가까우면 / 기운 내의는 안 입어야지 / 그것이 쉬울세 말이지. / 성한 것   은 / 자식들 주고 / 기운 것만 내 차례구나. / … / 지금은 엄동. 눈이 얼어, 빙판이구나. / 등만 따스면 / 그만이라 /, 겉치레도 벗어버릴까 / … /누더기 걸친 우리 내외 / 보고 빙긋 마주 빙긋 / 겨울 삼동을 지내는구나. ('영탄조' 일부) 박목월은 6.25전쟁을 거치면서 이산가족들이 겪는 시대적 아픔과 가난으로 어려운 생활을 할 수밖에 없는 여러 가지 사건을 겪으면서 가정의 소중함을 느끼게 된다. 가정과 생활이 연계되는 현장의 시적 형상화는 초기 시와는 매우 다른 모습의 시로 전개된다. 가정과 생활을 소재로 한 박목월의 중기시 창작은  상당한 문학사적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