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T(포항산업과학연구원, 원장 박성호)가 대기 중 수은제거 기술을 개발해 국내최초로 현장에 적용했다고 1일 밝혔다. 지난해 3월 전남 광주 하남산단에 위치한 전구제조업체인 ㈜남영전구의 형광등 제조공정에서 수은이 누출되는 일이 있었다. 이에 광주지역 화학사고를 담당하는 영산강유역환경청에서는 수은제거 관련 연구개발 경험이 있는 RIST에 자문을 요청하였고, RIST는 신속하게 연구진을 파견해 수은제거작업을 적극 지원했다. RIST는 2012년 개발해 해외특허를 출원한 '이산화염소를 이용한 대기 중 수은제거 기술'을 접목해 수은흡착 후드설비를 설계하고 2016년 2월 19일 현장에 설치했으며, 5월 현재까지 3개월 동안 현장의 고농도 수은을 99% 이상 제거하는데 성공했다. RIST의 수은제거 기술은 대기 중 수은에 이산화염소를 반응시키면 산화수은으로 바뀌면서 활성탄에 흡착이 잘 된다는 점에 착안해 개발된 기술로, 수은의 농도에 따라 이산화염소를 포함한 산화제 종류를 바꾸어 가며 활성탄의 수은 흡착력을 높여 1mg/㎥의 농도까지 제거 가능하다. 일반활성탄 대비 가격이 2배가 넘는 고가의 첨착활성탄을 사용할 필요 없이 산화제의 종류만 변화를 주면 흡착율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수은노출 현장과 같이 수은의 농도가 급격히 변화하는 상황에서 효율적인 적용이 가능하다. 체온계나 형광등에 주로 쓰이는 수은은 체내에 흡수될 경우 신경계에 피해를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도 수은에 대한 적극적인 제재가 아직 없는 상황이다. 이 때문에 그 동안 배출수은 제거 기술에 대한 수요가 거의 없었고, 기술이 실제현장에 적용된 사례도 찾아보기 힘들었다. 
이준형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