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초의 홍산문화 유적 발견 2015년 12월 21-22일 대련(大連)에서 '홍산문화 발견 80주년 국제학술대회'가 열려 필자도 발표를 하고 왔다. 홍산문화의 최초 유적은 사실 1935년에 일본 고고학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하마다 고사쿠(濱田耕作)에 의해서 발견되었다. 내몽고 적봉시 동쪽 끝에 있는 홍산(紅山: 본래 몽골어인 '울란하따'(울란=붉은, 하따=산)를 한자로 의역한 것) 뒤쪽에서 발견된 '홍산후(紅山後) 유적'이 이것이다.  발굴 3년 후에 하마다 고사쿠는 '적봉홍산후(赤峰紅山後)'라는 발굴보고서에서는 '홍산후 유적'을 '적봉 제1기 문화'와 '적봉 제2기 문화'로 나누어 보았다. 당시에는, (1) '적봉 제1기 문화'는 신석기시대로 감숙성 주변에서 전래된 것이라고 보았고, (2) '적봉 제2기 문화'는 청동기시대로 북방 스키타이 지역에서 전래된 것으로 보았다. 수 천 년 동안 야만인의 땅이라고 여겼던 지역에서 무엇인가 새롭게 발견되었으나 모두 어디선가 전래된 것으로 보았다. 그곳에 자체의 거대한 고대 문명이 있었다는 것을 당시에는 꿈에도 생각지 못했던 것이다. 후에 북경대학 고고학과 여준악(呂遵諤) 교수에 의해서, '적봉 제2기 문화'는 청동기시대가 아니라 한대(漢代)의 유적으로 밝혀졌다. 결국 하마다 고사쿠가 발굴한 '적봉 제1기 문화'가 1955년 12월 출판된 윤달(尹達)의 '중국 신석기시대'라는 책에서 정식으로 '홍산문화'로 명명된다. 그러나 당시까지도 학자들의 큰 주목을 끄는 발굴을 이루어지지 않았다.-홍산문화 우하량 유적의 발견과 요하문명의 명명  1981년 요녕성 능원현(凌源縣)과 건평현(建平縣)의 경계 지역인 우하량촌(牛河梁村)에서 홍산문화(B.C. 4500 - B.C. 3000)의 대표적 유적이자 세계를 놀라게 한 홍산문화 후기(B.C. 3500 - B.C. 3000)의 거대한 '우하량 유적'이 발견된다. 우하량 유적에 대한 대대적인 1차 발굴(1983-1985년)이 진행되었다. 발굴이 마무리된 1986년 7월 24일 신화사 통신은 홍산문화 후기 우하량 유적에서 기원전 3500년까지 올라가는 대형 제단, 여신사당(女神廟), 적석총군이 어우러진 단·묘·총(壇·廟·塚) 삼위일체의 거대한 유적이 발굴되었다는 소식을 전 세계를 향해 전했다.  우하량 유적은 기원전 5500년경에 이미, (1) 사회적으로 최소한 6-7등급의 계층이 있었고, (2) 옥기 장인 등 사회적 분업이 이루어졌으며, (3) 많은 옥기를 부장한 한 변이 20-30m정도 되는 수많은 3층 계단식 적석총(積石塚), (4) 20m 길이의 단독 여신(女神)사당, (5) 지름 30m정도의 3층 원형 천단(天壇) 등 각종 제단 등을 갖추고 있으며, (6) 이미 지고무상(至高無上)의 절대 권력자가 있는 '초기 국가단계' 혹은 '초기 문명단계'에 진입한 것을 보여주는 놀라운 유적이다.  3황 5제의 신화시대를 운운하는 기원전 3500년에, 이미 초기 국가단계의 대규모 유적이 발견되었다는 것은 엄청난 충격이었다. 기존에 중국학계에서는 황하문명 지역이 중화문명의 기원지이고, 이곳에서 하(夏)-상(商)-주(周)로 이어지는 고대 국가 단계를 설정했었다. 우하량 유적지의 발견은 이런 기존의 정설을 완전히 무너뜨리는 것이었다.  요하 주변의 거대한 새로운 문명을 무언가로 명명을 할 필요가 있었다. 우하량 유적의 발굴책임자인 곽대순(郭大順)은 1995년에, (1) '요녕 사전 고고와 요하문명 탐원(遼寧史前考古與遼河文明探源)', (2) '요하문명의 제시와 전통사학에 대한 충격(遼河文明的提出與對傳統史學的衝擊)'이라는 두 편의 논문에서 정식으로 '요하문명'으로 명명하였다. 이는 곧 학술개념으로 수용되었다. 이후 내몽고와 요녕성 지역에서는 현재까지 약 1100개가 넘는 홍산문화 유적이 발견되었다. 그 가운데 반 이상은 이미 도굴된 상태였고, 정식으로 발굴이 완료된 것은 40-50개 정도에 불과하다. 아직도 많은 유적들이 발굴을 기다리고 있다.  이 일대에서는 홍산문화 보다 오래된, (1) 신석시대 소하서문화, 흥륭와문화, 조보구문화, 부하문화 등이 연이어 발견되었고, (2) 동석병용시대 소하연문화, (3) 청동기시대 하가점하층문화, 하가점상층문화 시기의 새로운 유적들이 지금도 지속적으로 발견되고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