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가 지난 6월 말 기준 주민등록총인구가 275만2천515명으로 지난 1년 사이 6천여명이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이중 내국인 270만2천385명, 외국인 5만130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6천416명(0.23%) 증가했으며, 세대수는 117만6천23세대로 전년 동기 대비 1만5천873세대(1.37%)가 증가했다. 이는 김천시의 혁신도시 개발, 경북도청 이전과 신도시 개발 및 경산시의 산업단지조성을 통한 고용창출 등 권역별 핵심개발사업이 실질적으로 이루어지고 가시화되면서 인구증가를 직접 견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 혁신도시 김천시 4천675명(3.37%), 경북도청 신도시 예천군 746명(1.64%), 경산시 3천명(1.14%) 등 10개 시군이 전년 동기 대비 증가세를 보였다.  내국인의 인구구조는 연령별로 유년인구(0~14세)는 12.46%이며 경제활동인구(15~64세)는 69.57%, 노인인구(65세 이상)는 17.97%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활동인구는 187만9천999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1천568명이 증가했으며, 시군별로 구미시(76.01%), 포항시(73.59%), 경산시(72.84%) 순으로 높은 비율을 보였다. 노인인구는 48만5천503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1만631명이 증가했으며, 시군별로 의성군(36.35%), 군위군(35.66%), 영양군(32.95%) 순으로 군지역의 고령화율이 높아 내국인의 고령화 비율은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또 등록외국인은 5만130명으로 외국인 인구가 많은 곳은 경주시 9천299명, 경산시 7천940명, 구미시 5천609명이며, 국적별로는 베트남 24.54%, 중국 13.12%, 한국계중국인 10.02% 등 아시아계가 높은 비율을 차지했다. 안병윤 경북도 기획조정실장은 "경북도의 인구 증가는 그간 지속적인 투자유치와 일자리 창출, 시군별로 차별화된 균형발전정책이 실효를 거두고 있다"며 "앞으로 권역별 특화된 개발사업과 적극적인 투자유치·일자리 창출 정책으로 인구가 늘어나는 살기좋은 경북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서인교 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