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사드 배치'에 중국의 비판과 반대가 도를 넘으면서 100년전 사망한 위안스카이의 망령이 우리 땅에 배회하는 것 같은 착각이 든다. 조선조의 못난 조정(朝廷)이 자국군의 반란을 막지못해 불러들인 청국군의 말석(末席) 참모였던 위안스카이는 우리 임금인 고종(高宗)에게 대놓고 '혼군(昏君·어리석은 임금)'이라 삿대질하고 조정대신들을 제멋대로 갈아치우는 등 총독(總督)처럼 행세했다. 그것도 모자라 임금의 아버지인 대원군(大院君)을 납치해서 중국으로 압송했는가하면 갑신정변을 무력진압함으로서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화를 무산시켰고 일제의 '을사늑약'에 앞서 우리의 외교권을 폭력으로 제약(制約)했다. 위안스카이는 나이 20여세에 불과한 청나라의 하급장교였지만 마치 깡패처럼 무법불법의 폭력을 휘둘렀고 우리의 조정과 국민들은 말할 수 없는 곤욕을 당하고 수모에 시달렸다. 지금 우리 땅에 사드를 배치하는 문제는 엄연히 우리의 군사주권(軍事主權)에 속하는 것인데 중국이 자국 이해관계만 앞세워 남의 나라 주권을 무시하는 위협을 자행하는 것은 위안스카이의 망령(亡靈) 같이 보이는 것이다. 우리가 우리 땅에 사드를 배치할 것이냐의 문제는 우리 국민이 결정할 사안이고 우리국민을 대표하는 국군통수권자가 적법절차를 밟아 결정할 문제이다. 그 과정에서 우리 국민들은 자신의 의견을 말할 수 있지만 중국이 위협적인 언사로 우리의 안보문제에 간섭하는 것은 분명히 국제질서를 무시하는 대국의 패권주의적(覇權主義的) 행패인 것이다. 북한의 핵과 미사일 개발은 실전배치가 임박했을 만큼 진전되었으나 한반도 비핵화6자회담과 유엔의 제제결의는 실효성을 가질 수 없을 지경에 이르렀다 이 때문에 우리 정부는 국가안보를 위해 사드배치를 결정할 수밖에 없다는 점을 대내외에 누누이 설명한 바 있다. 그럼에도 북한에 대해 가장 영향력이 있는 중국은 사실상 북한의 핵과 미사일개발을 적극 제지했다기 보다 오히려 방조한 의심마저 받고 있는 것이 작금의 정황이다. 심지어 우리정부는 중국에 대해 북한의 핵과 미사일이 제거되면 사드배치를 포기하겠다는 언질마저 주고 있다. 이같이 절박한 입장과 '사드 포기' 조건까지 제시했음에도 중국정부와 정부의 지시를 받는 언론, 연구소 등이 온갖 방법으로 우리정부에 사드포기를 강요하고 위협하는 것은 위안스카이의 행태와 무엇이 다른가. 다른 점이 있다면 위안스카이는 조선에 대한 위협을 불법적 폭력으로 실행했다면 현재의 중국은 말로 하는 위협을 아직 실현하지 않은 점뿐인 것이다. 그러나 중국의 압박강도는 금방이라도 우리에게 무슨 일을 저지를 것 같은 긴장감이 팽배하고 있어 공포는 현실화되고 있다. 현시점에서 우리 국민들은 중국 당국자에게 북한의 핵과 미사일 앞에 벌거벗은 채로 당하고만 있으란 것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 중국의 이같은 위협은 인권말살국가인 북한의 김정은 편에서 우리를 대하는 것 같은 의구심을 버릴 수 없게 한다. 지금 한국민이 과거 청조시대 우리나라를 핍박했던 위안스카이를 떠올리는 것은 우리의 주권을 무시하는 현재 중국의 패권적 행태가 본질적으로 그 때와 다르지 않기 때문이다. 물론 중국이 우려하는 것을 전혀 이해하지 못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중국이 북핵과 관련 해결해 줘야할 부분을 외면한 채 우리에게만 생존권이 걸린 군사주권적 사안을 양보하라는 것은 상호주의적 해결방식에 맞지않다. 21세기의 안보환경은 20세기와는 또 다르다. 중국이 비록 세계2위의 경제대국이고 군사강국이 되었지만 집단안보(集團安保)를 지향하는 세계적 추세를 생각하면 패권주의적 이데올로기로는 결코 중국이 대국의 위상을 유지하기 어려움을 알아야 할 것이다. 패권적 행패를 부렸던 위안스카이 이래 중국은 열강에 어떤 수모를 당하였던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