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들어 지자체들은 중·장기적 발전 기반 구축을 위해 광역적 연계 ·협력벨트 구축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동해안에너지관광벨트, 서해안신산업벨트, 남해안선벨트, 동서연계내륙녹색벨트, 내륙첨단산업벨트, 남북교류접경지역벨트 등과 같이 다양한 '광역연계협력벨트'를 구축하고 있는 것이 그 사례이다.  자치단체들의 광역연계협력벨트 구축의 필요성은 지역별 특화산업 발전전략 추진이 중복투자로 나타나거나 지역 간 '경쟁'에 의해 국가 경쟁력을 저하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는데서 출발하고 있다. '허리경제권'의 산업부문에 대한 협력벨트의 구축은 수도권에 대응한 중부권의 균형발전과 산업부문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지역별 산업부문의 특화를 토대로 지역 간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상생할 수 있는 새로운 정책이다. 허리경제권 산업부문의 협력벨트 구축의 목표는 산업의 고도기술화와 집적화를 토대로 '초광역산업클러스터(cluster)' 구축을 목표로 설정하고 있다.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허리경제권 내 첨단산업 거점 육성과 거점별 비교우위를 점하고 있는 특화산업의 상호보완 발전과 집적화를 위한 연계성 강화를 추진전략으로 설정하고 있다. 허리경제권 핵심 산업으로는 '바이오 융복합산업'으로 선정하여 신산업 벨트 구축을 통한 국가 미래 산업 거점으로 육성하고, 전략산업으로는 농업과 ICT가 결합된 농생명산업, 시스템반도체산업, 문화ICT융복합신산업, 스포츠와 ICT를 결합한 스포츠산업을 선정하고 있다. 허리경제권 산업부문 협력벨트 구축에 있어서 바이오산업을 핵심 산업으로 선정한 이유는 2020년을 전후하여 세계경제를 이끌어갈 미래 핵심 산업으로 IT산업에서 '바이오경제'로 진입할 것이라는 전망을 고려한 것이다. 따라서 국내 바이오산업 진흥을 위해 연구개발에서 상업화 단계까지 전반에 대한 통합 발전 시스템 구축과 지역별로 국제적 수준의 바이오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 허리경제권 산업부문에서 핵심 산업으로 선정한 것이다. 허리경제권 내 핵심 산업 중 다른 지자체에서 추구하는 산업부문과 중첩되는 부문을 피하고, 입지적 특성, 자원조달 가능성 등과 같은 비교우의 요소를 반영하여 경상북도가 경쟁력을 지닌 첨단 바이오백신산업 클러스터 조성을 선정하였다. 경상북도가 조성하는 첨단 바이오산업클러스터는 국립백신산업진흥원 설립, 첨단 바이오 백신관련 융·복합사업 발굴과 연계산업육성, 국가바이오산업단지 조성 등과 같은 세부사업을 추진하는 것으로 제시되고 있다. 전략산업으로 제시된 농생명산업 벨트구축은 고품질 농산물에 대한 수요증가와 시장개방 확대와 기후 및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농산물 생산, 가공, 유통, 연구, 체험기능과 치유농업의 개념을 도입한 '의농(醫農)산업'을 육성하는 것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 허리경제권 미래 농생명벨트 조성을 위해 경상북도에서는 유기농산업클러스터 지원센터, 의농플랫폼, 종자산업클러스터 등을 조성하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다음으로 전략산업으로 선정된 미래형 시스템반도체 벨리조성은 현재 메모리 반도체 편중된 국내 반도체 산업의 경쟁력 제고를 위해 비메모리 반도체(시스템 반도체) 산업을 육성하고자 하는 것이다. 허리경제권 내 충북, 충남, 경북에 조성되는 시스템반도체 벨리는 설계 및 검증인프라 구축, 개방형 연구협력 구축, 중소기업 영업환경 개선, 팹리스반도체 아카데미 및 산업지원센터 설립 등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 또한 문화가 중심이 되는 지식정보사회 구현을 통해 국가 경쟁력 제고를 위한 문화ICT융복합 신산업벨트 조성을 허리경제권 전략산업으로 선정하고 있다. 문화ICT융복합 신산업벨트는 충남의 ICT융합 문화콘텐츠센터와 대전의 족보박물관과 아카이브사업과 연계하여 경북에 세계유산 3D체험단지를 조성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끝으로 국가 스포츠산업벨리 조성은 허리경권 내에 진천선수촌과 태백선수춘, 문경 국군체육부대와 연계하여 스포츠 용품, 스포츠의학 등 스포츠와 관련된 산업을 집적화하여 성장산업으로 육성하는 전략을 추진하고자 선정하였다. 허리경제권에서 스포츠산업벨리는 강원지역에 스포츠관광, 충북지역은 바이오산업과 스포츠산업을 연계한 융·복합 웰니스(wellness)산업단지 조성, 경북지역에는 스포츠용품업, 스포츠 시설업, 스포츠 서비스업 등으로 구성된 스포츠산업 집적단지를 조성하는 것을 제시하고 있다. 한반도 허리경제권 산업부문의 협력체계 구축의 목표는 지역별 특화산업의 육성과 이를 토대로 연계협력체계를 구축하여 궁극적으로 지역의 균형발전과 국가경제의 경쟁력을 제고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목표달성의 성공여부는 허리경제권에 속하고 있는 지자체간 협력과 소통을 통해 중앙정부의 지원을 끌어내는 것이 과제라고 하겠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