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들의 음주·흡연 폐해가 예상보다 훨씬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음주와 흡연을 하는 청소년의 상당수가 우울증 증세를 보이는 등 정서적 문제를 함께 앓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스트레스를 적절히 풀지 못하면서 중독성이 강한 음주·흡연 문화에 쉽게 노출되고 빠져나오지 못하는 사례가 많다는 얘기다. 청소년 흡연·음주 습관 '성인 따라 하기'답습  보건복지부 식품의약품안전처 조사에 따르면 15~19세 사이 청소년 중 80% 가량이 최근 6개월 사이에 술을 마신 적이 있다고 응답했다. 10대 청소년의 음주율 또한 2013년 16.3%에서 2015년 16.7%로 나타나 다소 높아진 것으로 드러났다.  음주문화도 습관적이다. 대한소아과학회에 따르면 음주경험이 있는 청소년의 25.2%는 사흘에 한 번 이상 술을 마시고, 음주량도 적지 않아 한 번 마실 때 소주 5잔(맥주의 경우 3병, 양주는 5잔)이상 마신다는 경우가 무려 43.5%에 달했다.  흡연 청소년 비율도 만만치 않다. 교육부가 최근 국회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흡연으로 인해 학교에서 징계를 받은 청소년은 중학생이 1만 2,022명, 고등학생이 3만 3,122명이었다.  불안과 우울로 이어지는 청소년 흡연, 음주흡연과 음주를 상습적으로 반복하는 청소년일수록 불안과 우울 증세를 많이 보인다는 조사결과도 있다.  청소년 음주·흡연은 과도한 경쟁과 학업 부담에서 오는 스트레스를 떨쳐 내기 위한 손쉬운 방편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특히 청소년들이 비교적 쉽게 술과 담배를 구할 수 있는 사회 풍토와 기성세대의 잘못된 음주흡연문화가 청소년들에게 깊숙이 전염돼 이를 바로잡기가 매우 힘들다. 문제는 스트레스. 흡연이나 음주를 하는 청소년이 늘어난 데 대해 전문가 대부분은 '스트레스'와 '충동성 증가'를 가장 큰 원인으로 꼽는다.  문제는 청소년들이 스트레스를 풀 방법이 없다는 데 있다. 흡연과 음주는 중독성이 있기 때문에 일탈의 느낌을 주고 그로 인해 스트레스를 해소했다고 믿게 된다. 흡연과 음주 자체가 지닌 중독성은 이로 인해 더욱 강화된다. 이에 따라 전문가들은 청소년들이 스트레스를 풀 수 있도록 적절한 도움이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운동·글쓰기·낙서··· 무엇이든 시작하자 . 대다수 전문의들은 규칙적인 운동이 매우 큰 도움이 된다고 전했다. 일주일에 사흘 이상 격렬한 신체활동 예컨대 운동을 하면 흡연·음주율이 낮아진다는 의학계 조사결과도 있다. 규칙적인 운동이 힘들다고 여겨지면, 짬이 나는 대로 대략 1시간 정도 땀이 날 정도로 걸으면 좋다. 걷다 보면 땀이 나고 스트레스 상황과 분리될 수 있다.  글쓰기에 대한 부담감이나 강박관념을 버리고, 쓰고 싶은 것들을 편하게 나열해 보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지금 느끼는 감정을 떠오르는 대로 글로 적으면 마음이 진정될 수 있다. 습관적으로 글을 쓰다 보면 흡연이나 음주의 중독성에서 조금은 자유로워질 수 있다.  이런 방법들이 너무 틀에 박혔다고 생각이 든다면, 그냥 낙서를 해보는 것도 나쁘지 않다. '내가 지금 왜 불안하지?', '무엇 때문에 흡연과 음주에 깊이 빠져드는 것일까'라는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지면서 낙서를 하다 보면 스트레스의 원인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 또 낙서를 통해 자신의 현재 상태를 파악하는 것에서 한 발 더 나아가 적극적으로 스트레스를 해결해 나가는 단초를 얻을 수도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