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대구문화재단 대구문학관이 우리 문학의 소중한 가치와 뿌리를 조명하는 문학 활성화의 일환으로 근대문학 특별전을 지속적으로 기획·전시하고 있다. 이번 전시는 광복기를 조명했던 '죽순, 그 열두 마다의 외침'에 이어 한국전쟁기를 탐구해 볼 수 있는 전시로 시인 구상을 조명한 '반갑고, 고맙고, 기쁘다-꽃자리 구상 展'을 개최한다. 6일부터 내년 3월5일까지 대구문학관 기획전시실에서 만나 볼 수 있는 이번 전시는 한국전쟁 이후부터 60년대 초까지 대구에 거주하며 많은 문화적 교류를 남긴 시인 구상과 그 문학적 인연들을 단행본·사진·영상·캘리그라피 작품 등으로 소개한다. 프랑스 문인협회가 선정한 세계 200대 문인인 시인 구상은 등단부터 남달랐다. 일명 '응향 필화 사건'으로 불리는 1946년 월남이야기부터 다시 창작을 할 수 있게 만들어준 펜팔친구 소설가 최태응과의 교류 이야기는 당시 '응향'에 발표한 '여명도'와 '백민'을 통해 소개한다. 휴전 이후 또 하나의 파란만장한 이야기는 '민주고발'을 통해 알 수 있다. 시인 구상은 문인으로 출발한지 얼마 되지 않아 한국전쟁이 발발하고 종군기자단으로 활동했으며 전쟁 속에서 섭리와 자유, 선과 악, 이념과 민족 등의 실존의식과 감정을 구상적으로 표출한 15편의 '초토의 시연작'을 발표 했다. 특히 초토의 시8-적군묘지 앞에서는 한국전쟁 때 숨진 북한군의 시신을 묻은 '적군 묘지'를 소재로 해 동족상잔의 비극에 대한 비애와 통일에 대한 염원을 노래했다. 그의 작품집들을 보면 유독 이중섭 표지화가 많이 보인다. 구상과 이중섭은 일본 유학시절 한 음악다방에서 만나 함께하게 되는데, 병상에 누워 있을 시절 도화지에다 큰 복숭아 속에 한 동자가 청개구리와 노니는 것을 그려와 '무슨 병이든지 먹으면 낫는다는 천도 복숭아를 그려왔으니 어서 나으라' 한 적도 있고 임종을 앞둔 반 혼수상태에서도 친구 '듕섭'을 찾을 정도로 각별한 사이였다. 시인 구상의 또 다른 교류 인물은 바로 '오상순'이다. 1920년 7월 동인지 '폐허'를 통해 등단한 공초(空超) 오상순은 하루에 담배 20갑을 필 정도로 애연가였다. 그 일화로 공초가 평소 인사말로 건네던 '반갑고 고맙고 기쁘다'에서 영감을 받아 '꽃자리' 라는 시를 발표했고,' 후에 예술인의 거리였던 향촌동에 '꽃자리 다방'으로 이어지기도 했다. 향촌동의 아시아, 감나무집, 말대가리집 등에서 밤낮으로 어울려 말술을 푸고 온갖 기행을 연출하며 우정을 쌓던 그 시절 그 모습들을 작품과 더불어 영상, 조형물 등으로 만나 볼 수 있다. 
김범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