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할매할배의날 선포식 모습.경북도는 대가족사회의 장점을 살린 조부모 중심의 가족공동체 회복을 통한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2014년 10월 '할매할배의 날'을 제정, 전국 확산에 주력하고 있다.
'할매할배의 날'은 매월 마지막 토요일 부모가 자녀와 함께 조부모를 찾아가 세대 간 소통을 통해 삶의 지혜를 배우며 가족이라는 공동체를 이루는 날이다.
도는 섬김과 봉양을 넘어선 함께함의 가치를 통해 새로운 형태의 효 문화 창출과 함께, 경제적으로는 풍족하지만 정서적으로 궁핍한 시대에 잊혀져가는 가족 간의 정(情)을 되살려 사람 냄새나는 사회로 만들기 위한 바람으로 제정했다.
'할매할배의 날'은 기타 기념일이 가지고 있지 않는 특별함을 지니고 있다.
반면 외국의 주요한 국가들은 '조부모의 날(Grandparents Day)'을 국가기념일로 제정하고, 조부모와 성인자녀, 손자녀가 함께 참여하는 각종 행사나 모임을 개최하고 있으며, 이탈리아, 싱가포르, 파키스탄, 남수단 등은 노인의 날과 별도로 조부모의 날을 운영하고 있다.
경북도는 지난 2년간 '홍보, 교육, 소통매체 개발'이라는 세 가지 주요 정책방향으로 전 세대가 공감하는 '할매할배의 날'의 기반을 다지기 위해 노력했다.
그 결과 대구·경북 8개 기관단체장이 '할매할배의 날'공동추진을 위해 모였고, 대한노인회 등 민간단체에서도 두 팔 걷고 나서기 시작했으며, 교육부는 '인성교육 5개년 종합계획'에 3대가 함께 하는 공감활동 사례로 반영되는 등 각계각층에서 관심을 보이기 시작했다.
한편, 경북도는 올해 전국 동참분위기 조성을 위해 대국민 홍보활동, 전국단위 조직을 가진 민간단체와 파트너쉽 구축, 국가기념일 제정을 위한 중앙정부와의 협의 등 '할매할배의 날'을 전국적인 생활실천운동으로 한발 더 나아가기 위해 노력하기로 했다.
이재일 경북도 복지건강국장은 "인성이 넘치는 화목하고 행복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 할매할배의 날이 앞장서 나가겠다"며 "올해는 '할매할배의 날'이 전국적으로 확산돼, 매월 마지막 토요일은 어르신들에게 최고의 선물인 손주를 안겨주는 날이 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서인교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