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는 지난해 12월 민족의 정체성 확립의 일환으로 추진했던 '신라사대계' 편찬을 최종 완료하고, 그 후속사업으로 신라사 대중화 및 활용사업을 본격 추진한다. '신라 천년의 역사와 문화'라는 제목으로 발간된 '신라사대계'는 장장 5년에 걸쳐 신라사 관련학자 136명의 집필진이 참여해 22권의 연구총서와 8권의 자료집으로 발간했다. 이는 지금까지의 신라사 연구성과들을 집대성하고 이를 재해석해 신라사 전체를 보여주는 품격 있는 대중 역사서로 평가받고 있다. 도는 지난해 신라사대계 1천부를 발간해 학계, 관련기관, 연구소, 전국의 대학과 국·공립도서관, 언론사 등에 배부된 후 역사관련 전공자와 전문가를 비롯해 일반인들도 많은 관심을 가지고 신라사 내용을 알고 싶다는 문의와 함께 구입 가능 여부 등 요청에 부응하고자 '신라사 대중화 및 활용사업'을 적극 추진하게 됐다. 또 도는 3월말까지 언제 어디서나 신라사대계를 접할 수 있도록 기본기능과 통합검색, 키워드 검색 등 여러 확장 검색 기능을 갖춘 전자책(e-Book) 시스템을 구축하고 웹사이트뿐만 아니라 스마트폰 앱으로도 제작·보급하기로 했다. 또한 하반기에는 서울역사박물관 등에서 집필진이 직접 신라사대계를 쉽게 풀어주는 30강 정도의 신라사 강좌를 개설해 신라사에 대한 내용을 전국으로 홍보하기로 했다. 특히 하반기에는 신라사대계-백제사 공동연구 및 교류사업도 추진한다. 도는 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신라의 복식·신화·전설 등을 소재로 스토리텔링화 하는 등 다양한 문화관광 콘텐츠를 개발하고 신라의 복식·음식·주거·의례 등 복원과 재현사업도 추진하기로 했다. 서원 경북도 문화관광체육국장은 "'신라사대계'를 누구나 쉽게 접근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대중화와 활용사업을 적극 추진하겠다"며 "신라사를 스토리텔링화 하는 등 다양하고 차별화된 문화관광 콘텐츠개발을 통해 문화진흥과 문화유산의 가치 창출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서인교 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