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안산의 대부도에서 발굴한 고려 시대 난파선 '대부도 2호선'의 조사보고서가 13일 발간됐다. 대부도 2호선은 지난 2014년 11월 방아머리해수욕장 인근의 갯벌에서 낙지를 잡던 어민이 발견했다.  발견 당시 배 앞머리와 뒷머리 일부만 밖으로 나와있는 상태였다. 확인된 선박의 잔존길이는 약 9.2m, 최대폭은 2.9m가량으로, 기존에 발견된 고려 선박에 비해 크기가 작고 날렵한 형태를 지닌 것이 특징이다. 선박 구조와 선체 내부에서 수습된 도자기들로 미루어 볼 때 12세기 후반에서 13세기 초반의 고려 시대 선박으로 추정된다. 대부도에서는 대부도 2호선 외에도 2006년에 고려 시대 선박인 대부도 1호선이, 2013년에는 대부도 바로 서쪽 영흥도에서 통일신라 시대 선박인 영흥도선이 발굴된 바 있다. 대부도 인근에서 발견된 이들 난파선들은 과거 이곳에서 수많은 해상활동이 이루어졌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14일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에 따르면 일반적으로 갯벌에서 발견되는 난파선에서는 유물이 적게 나오는 것과 달리, 대부도 2호선에는 선원들이 사용한 것으로 보이는 청자접시와 도기호(아가리가 넓고 목이 짧으며 몸통이 넓은 저장용기), 빗 등 다량의 유물이 발견됐다. 특히, 발굴 막바지 선체 아래에서 곶감으로 추정되는 감씨와 붉은 색의 과육 그리고 곶감꼬지가 함께 발견되어 과거 선조들의 생활 모습의 한 면을 엿볼 수 있는 자료를 확보했다. 대부도 2호선은 선체의 바닥인 저판(底板, 밑널)이 4열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는 기존 우리나라 한선(韓船)의 일반적인 특징인 홀수 저판과는 달라 선박연구에 있어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보고서에는 발굴조사 내용과 함께 유물에 관한 연구, 선체 연대 측정, 도기호의 보존처리, 선체 수종분석 등 고려 시대 선박사, 도자기 역사, 생활사 등과 관련된 다양한 자료가 담겨있다.  보고서는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누리집(www.seamuse.go.kr)에서 무료로 제공된다.  장성재 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