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를 나타내는 소매판매가 1월까지 석 달 연속 하향곡선을 그렸다. 2008년 12월 이후 처음이다. 그만큼 작금의 불황이 금융위기 시절에 비견될 정도로 심각하다는 이야기다. 특히 최대 명절인 설날 특수도 소비자들의 지갑을 열지 못했다. 김영란법의 여파의 직격탄을 맞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기저효과로 자동차와 화장품 소비가 크게 줄었고, 소비심리가 낮은 수준에 머물러 있는 점도 소매판매를 제약한 요인으로 꼽힌다. 2일 통계청이 발표한 '1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1월 소매판매는 전월에 비해 2.2% 감소했다. 등락을 거듭하던 소매판매는 10월 들어 전월에 비해 4.2%나 증가해 반등에 성공하는 듯했다. 그러나 11월 0.3% 감소하며 한 달 만에 다시 마이너스로 돌아섰다. 12월에는 0.5% 줄어들어 감소세가 이어졌고, 올해 1월에는 감소폭이 더욱 커졌다. 소매판매가 3개월 연이어 마이너스를 기록한 것은 2008년 12월 이후 처음이다. 당시 소매판매는 금융위기 여파로 2008년 8월부터 5개월 연속 감소했다. 1월 소매판매를 들여다보면 준내구재(0.6%)가 소폭 증가했으나, 비내구재(-1.9%)와 내구재(-4.5%)가 감소했다. 명절인 설날이 있었음에도 대목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청탁금지법)'이 제약 요인으로 작용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명절 선물로 주로 저가의 선물세트를 찾다보니 판매액 자체가 줄어들었다는 것이다. 실제 소매업태별 판매액 증가율을 보면 대형마트와 백화점의 감소세가 두드러졌다. 대형마트는 전월보다 7.0% 판매가 줄었고, 백화점도 2.5% 감소했다. 기저효과로 인한 자동차와 화장품 판매 부진도 소비 지표를 끌어내리는데 영향을 미쳤다. 승용차와 화장품 판매는 각각 전월보다 13.0%, 4.3% 씩 줄어들었다. 어운선 통계청 산업동향과장은 승용차 판매 감소에 대해 "작년 9~10월은 코리아세일페스타 같은 할인행사가 있었고, 11월에는 신차들이 많이 출시돼 신차효과가 있었다. 12월에는 노후경유차 폐차지원과 함께 회사별로 연말 판촉할인행사가 상당히 많았다"면서 "4개월 연속 증가하다보니 하방 조정 압력이 발생했고, 2월에 일부 수입차의 신제품 출시가 예정돼 있어 수입차 판매도 줄어들었다"고 설명했다. 이어 "화장품도 지난 연말 할인 행사가 많이있어 비교적 크게 증가했다. 이에 대한 기저효과가 일부 있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