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2019년 '인간-로봇상호작용 국제회의' 유치에 성공했다 시에 따르면 지난 6일(현지 시간)부터 오스트리아 비엔나에서 개최된 '2017년 제12회 인간-로봇상호작용 국제회의'에 합동유치단을 파견해 오는 2019년 개최되는 제14회 회의를 유치하는데 성공했다. 올해로 12회째 개최되고 있는 인간-로봇상호작용 국제회의는 160개국 37만명 이상 회원을 보유하고 있는 ICT 학·협회인 미국컴퓨터학회(ACM)와 국제전기·전자기술자협회(IEEE)가 주관하는 국제회의다. 매년 인간-로봇 협업과 로봇 교육 관련 저명한 과학자들이 모여 그동안의 연구 성과를 나누는 이번 회의를 대구가 유치함으로써 2019년 전 세계 총 500여명의 로봇관련 학자들이 대구를 방문하게 되는 등 로봇도시로의 위상을 높일 수 있게 됐다. 이번 회의 개최로 대구시의 신성장 육성산업인 로봇산업과 지능형기계산업, 미래형자동차산업 등 관련 분야 간의 교류를 통한 시너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대구지역의 로봇산업클러스터 및 대구창조경제센터 등의 관련 인프라를 전 세계에 홍보하는 기회를 마련했다. 특히 인간-로봇상호작용 국제회의는 '파이오니어 프로그램'을 통해 우수한 대학(원)생, 젊은 연구원을 육성지원하고 있는 국제회의로, 지역대학의 우수한 인재 교류 및 대구창조경제센터에 입주할 스타트업기업들에게도 좋은 기회가 제공된다. 인간-로봇상호작용이란 인간과 로봇 사이의 상호작용(human-robot interface)을 통한 사회행동학, 로봇학, 컴퓨터과학, 기계공학, 디자인 등 다양한 분야를 말하며 주로 교육·오락, 의료, 문화, 홈서비스, 사회안전 등 전 분야에 적용되기에 지역 로봇산업분야와 연계발전 가능성이 클 것으로 기대된다. 또 융복합산업으로써 섬유와 IT, BT, NT 등의 융합을 연구개발하고 있는 한국섬유기계연구원, 한국패션산업연구원, 다이텍연구원, 한국섬유개발연구원, 대구경북섬유산업연합회 등 지역특화산업과의 시너지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김연창 시 경제부시장은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하고 참가자와 주최자 모두가 만족하는 역대 가장 성공적인 국제회의를 치를 수 있도록 관계 기관과 긴밀히 협조해 적극적인 지원을 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김범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