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고의 스탭들과 출연진이 모여 완성한 정동극장의 독보적인 경주 브랜드 공연 2017 '바실라'가 오는 27일부터 경주세계문화엑스포 문화센터 공연장에서 새롭게 막을 올린다.  (재)정동극장(극장장 손상원)이 2015년 초연한 '바실라'는 역사 콘텐츠의 공연적 활용을 목표로 페르시아의 대서사시 '쿠쉬나메' 스토리를 창작한 작품이다. 흥미로운 스토리텔링을 비롯해 황금의 제국 페르시아와 금국 신라의 화려한 문화적 만남을 새로운 무대 기법과 연출로 표현했다는 평을 받으며 관객의 찬사를 받았다. 2016년 업그레이드 버전을 선보이며 한층 섬세한 연출과 강렬한 안무를 선보였던 국내 최고의 연출진이 다시 한 번 업그레이드 제작에 참여해 그 어떤 공연과도 비교할 수 없는 독보적인 2017년 바실라를 선보인다.  2017 공연 바실라는 쿠쉬나메 속 신라 이야기를 재창작해 70여분간의 역동적인 퍼포먼스로 재구성했다.  '쿠쉬나메'는 수백 년간 이란에서 구전되다가 11세기 필사되어 전해지는 흥미롭고 귀중한 자료로, 중국의 왕이자 기이한 용모를 지닌 악인 '쿠쉬'의 탄생과 몰락을 그리고 있다. 흥미로운 것은 1만 129절에 달하는 방대한 '쿠쉬나메'의 상당부분이 신라에 관한 내용이라는 점이다. 신라를 찾은 페르시아 왕자가 중국과의 전쟁을 돕고, 신라 공주와 결혼해 이란의 전설적인 영웅을 낳는다는 이 이야기 속에서 신라는 이상향과 같은 모습으로 그려진다.  공연의 제목이기도 한 '바실라'는 '쿠쉬나메'에서 고대 신라를 가리키는 지명으로 '더 좋은 신라' 라는 뜻을 담고 있기도 하다. 실제로 페르시아와 신라의 교류 가능성은 경주에서 발견되는 페르시아계 유물과 서역인의 모습을 한 무인상을 통해 추정해 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쿠쉬나메'는 고대사 연구의 귀중한 자료로 평가 받고 있다. 바실라는 지난 한 해 국내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그 우수성을 인정받으며, 해외시장 공략을 위한 문화콘텐츠로서 입지를 다졌다. 특히 대사가 없는 넌버벌(Non-Verbal) 퍼포먼스로 누구나 쉽게 접근할 수 있다는 장점과 다양한 문화의 융합을 그려낸 역동적인 작품에 대한 해외 관객들의 반응은 매우 뜨거웠다.  작품의 원작 '쿠쉬나메'의 배경이 된 페르시아 문명의 발상지인 이란 현지에서 치러진 문체부 주최 '2016 한국과 이란, 문화로 하나 되기' 행사에 문화사절단으로 파견되어 현지 관객들의 뜨거운 관심 속에 성공적인 공연을 펼쳤으며, 이란 전통 예술인 나칼리(Naqqali)를 접목한 무대를 통해 다문화융합공연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했다. 이 밖에도, 대만 최대 관광박람회 '국제관광전(ITF)'에서 쇼케이스 무대를 갖고 '최우수 공연 단체상'을 수상하여 현지 언론에 다수 보도되는가 하면, 관광공사와의 제휴로 추진한 '트래블마트' 설문조사에서는 가장 관심 있는 공연 1위로 뽑히는 등, 해외 관객 유치를 위한 경쟁력 있는 문화콘텐츠로 인정받고 있다.  2017년 바실라는 한층 더 강화된 와이어 액션과, 아크로바틱한 안무를 통해 더욱 역동적이고 스펙터클한 무대를 선보일 예정이다.  장성재 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