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대구·경북지역 중소·중견기업 수출액이 16억95백만불로 전년동월(13억 45백만불) 대비 26.0% 큰 폭으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경북중소기업청에 따르면 2월 대구·경북지역 총수출액은 40억39백만불(전국대비 9.4%)로 19.6% 증가했고 중소·중견기업 수출비중은 42.0%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중견기업 수출실적은 8억81백만불로 전년동월(5억93백만불) 대비 48.6%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경북지역 중견기업 수출실적은 6억90백만불로 전년동월 대비 68.8% 증가해 지역 중소·중견기업 수출증가세를 주도한 것으로 조사됐다. 대구지역 중견기업은 1억91백만불로 전년동월(1억 84백만불) 대비 4.0%증가해 상승세를 이어나갔다. 중소기업 수출실적은 8억14백만불로 전년동월(7억 52백만불) 대비 8.2%상승했다. 대구지역의 경우 3억19백만불로 전년동월(2억89백만불) 대비 10.2% 증가, 경북지역은 4억95백만불 전년동월(4억63백만불)로 6.9% 상승했다. 수출품목별로는 대구는 자동차부품, 공구, 기타기계류, 원동기및펌프의 수출이 크게 증가했고 경북은 주요업종의 회복으로 인해 철강판, 산업용전기기기, 합성수지 등이 지난달에 이어 성장세를 보이는 것으로 조사됐다. 수출국가별로는 중국, 미국, 일본 등 주력국가에서 여전히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으며 베트남, 멕시코 등 신흥시장의 수출도 늘었다. 다만, 지역주력 수출품인 자동차 부품수출이 국내완성차 업체의 미국현지생산량 감소와 중국 현지업체의 저가공세로 인해 핵심시장인 미국, 중국지역의 수출이 지난해 12월 이후 약보합세를 띄고 있다.  김문환 대구·경북중소기업청장은 "중국의 사드보복에 따라 지역 내 소상공인과 소비재 기업의 직접적인 피해가 예상된다"며 "선제적인 대응을 위해 수출지원센터 내 '중국수출애로 접수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니 통관·검역, 인증, 계약보류 등으로 피해를 입고 있는 기업에 대해 긴급경영안정자금 지원, 통상·외교채널을 통한 제소 등을 통해 적극 돕겠다"고 밝혔다.   김범수 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