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 72주년을 맞이한 가운데 대한광복단과 아도서숙 등 활발한 독립운동으로 이름을 알리고 있는 영주시에서 지역의 독립 운동사를 기리는 다양한 행사를 진행해 눈길을 끌고 있다.  지난해 선비정신을 실천한 독립운동가인 기려자 송상도 지사 서거를 추모하는 창작 뮤지컬 통한의 붓을 제작, 공연한데 이어 내년 2월 28일까지 소수박물관 별관 기획전시실에서 '광복, 영주의 간절한 외침'을 주제로 특별기획전을 개최한다. 영주는 우리나라 역사에서 중요한 시점마다 새로운 이정표를 세워 역사의 물줄기를 바꾼 선비의 고장으로 우리나라의 주권이 일제에 의해 침탈당했을 때 지역의 다양한 계층이 뜻을 모아 독립운동을 전개했다. 국가보훈처의 국가 공훈록에 기록된 영주 출신의 독립투사만 해도 다수로 조선 13도총간부를 조직하고 경북 일대를 무대로 독립운동자금을 모집하는 등의 활동을 한 강택진 선생과 항일독립운동사의 숨은 인물과 행적을 찾아 근거를 남기는데 일생을 바친 기려자 송상도 지사 등 수많은 독립 운동가를 배출했다. 특히 풍기지역을 중심으로 우리나라 최초의 무장독립 운동단체인 대한광복단을 결성해 1913년부터 1918년까지 영남 지역 유림을 비롯해 의병 출신 독립 운동가들과 계몽운동가 등 다양한 계층이 참가한 비밀결사를 구성하고 주요인사 암살 등 무력을 통한 독립운동을 전개했다. 대한광복단은 훗날 대한광복회의 모태가 되어 풍기에서 대한광복단을 주도적으로 이끈 채기중 선생과 대구에서 국권회복단을 통해 애국계몽운동을 펼친 박상진 선생이 대한광복회로 합류하여 전국적인 조직망을 갖추고 1910년대 국내 독립운동을 주도했다. 또 무섬마을에서는 아도서숙을 통해 선비정신의 대를 이어 무섬마을 청년들이 모여 1928년 건립해 1933년 일제에 의해 폐쇄될 때까지 신분을 가리지 않고 항일, 농촌계몽 운동을 펼쳤다. 안상모 홍보전산실장은 "영주는 역사적으로 금성대군의 단종 복위운동으로 수많은 고난을 겪는 가운데서도 불의에 항거하고 옳은 일을 실천한 선비의 고장으로 선비정신이 애국정신으로 이어져 독립운동으로 연결됐다"며 "광복 72주년을 맞아 영주에서 선비정신과 애국정신에 대해 되새겨보는 시간을 가져보시기 바란다"고 전했다.   김시기 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