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아자동차의 통상임금 소송의 1심 판결이 임박한 가운데 지역 자동차부품산업의 위기감이 확대되고 있다. 기아차가 통상임금 소송에서 패소할 경우 지역경제의 주력산업인 자동차부품산업은 치명적인 타격을 입을 전망이다.대구상공회의소에 따르면 기아차가 통상임금 소송에서 패소하면 기아차는 자체 추산 최대 3조원 이상의 즉각적 추가지출 발생이 예상된다. 최근 실적부진으로 영업이익률이 하락하고 있는 기아차로서는 유동성위기에 봉착할 경우 고통분담 명목으로 협력업체에 발주량 축소 또는 단가인하압력, 해외생산 등으로 지역 자동차부품산업에 직접적인 타격이 예상된다.또 기아차가 국내의 높은 임금을 견디지 못해 주력생산거점을 해외로 이전할 경우 지역이 입는 타격은 IMF 사태 이상일 것으로 보인다. 중소기업 비율이 높은 지역의 자동차부품산업은 기아차의 해외 이전에 따른 공급사 전환, 발주감소 등의 충격을 감쇄할 여력없는 이유에서다.기아차 소송패소의 영향은 이 뿐만이 아니다. 현재 진행 중인 100여건 이상의 통상임금 소송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데 지역에서도 통상임금 관련 소송이 새로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이에 대구상의는 현재까지 통상임금 소송과 관련한 특별한 움직임은 없으나 노조측에서 볼 때 회사가 통상임금에 상여금을 포함해도 ‘중대한 경영상의 어려움’을 겪지 않을 것으로 판단하는 1차 협력업체에서부터 동요할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놨다.거기다 기아차가 패소하게 되면 최근 노사 간 협상이 결렬된 현대차 노조에서도 기아차 노조와의 형평성을 이유로 임금인상에 더욱 투쟁적인 자세로 협상에 임해 파업이 장기화될 수가 있다. 이재경 대구상의 상근부회장은 “사실상 현장의 목소리는 주의 단계를 넘은 심각한 경고 수준"이라고 운을 뗀 뒤 “자동차부품산업은 지역경제를 견인하는 한 축이며 자동차부품산업 경기는 기초부품을 공급하는 기계금속산업까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자동차부품산업의 위기는 곧 대구경제 전체의 위기"라고 우려를 표했다. 이어 “지금은 공급사 다변화와 미래형 신기술 개발로 위기를 타개한다는 당위적인 방안보다는 곧 들이닥칠지도 모를 기아차 통상임금 패소에 대한 대책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김범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