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신문=박준현]고령의 관문인 봉화산에서 대가야시대 석축산성이 발견돼 학계의 비상한 관심을 끌고 있다. 고령군과 대동문화재연구원(원장 조영현)은 고령 봉화산에서 낙동강 최전선의 대가야 관문성을 발굴했다고 4일 밝혔다. 대동문화재연구원은 지난 4월부터 문화재청의 허가를 받아 봉화산 봉수대 재현사업부지를 발굴 조사했다. 이번 조사 과정에서 조선시대 봉수시설 외에도 대가야의 석축산성이 발견돼 대가야의 역사적 실체를 밝히는 데 소중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 일대는 대가야가 낙동강을 사이에 두고 신라와 대치하던 최접경지이자 관문을 지키는 전략적 요충지로 일찍부터 학계에서 주목해왔던 곳이었다. 관문성의 축조형태는 대가야 궁성의 대피성인 주산성과 동일한 테뫼식 석축성이다. 군사들이 먹을 물을 보관하던 원형의 석축 저수시설도 확인됐다. 석축성벽은 봉수시설의 무너진 방화벽 석재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드러났다. 주변 조사범위 내에서는 6세기 대가야시대 토기편들이 다수 출토됐다. 봉화산성에 대한 발굴 조사결과, 돌을 쌓아 축조한 산성은 대가야 시대인 6세기 무렵에 처음 축조된 것으로 파악됐다. 산성의 축조방법은 대가야 왕도의 배후에 자리하며 대가야 석축산성으로 밝혀진 주산성의 축조방법과 동일한 기술이 적용된 것을 확인했다. 지금까지 대가야 성곽으로 밝혀진 사례는 대가야 궁성과 대피성인 주산성이 전부였으며 아직 그 연구성과가 미미한 실정이다. 조영현 원장은 "이번 조사를 통해 대가야 국경에 설치된 석축산성의 실체가 처음으로 드러남으로써 향후 대가야궁성을 둘러싸고 주변지역에 배치돼 있는 17개소의 성곽에 대한 새로운 인식 전환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전도일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