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신문=장성재 기자]지난해 9·12 경주지진으로 피해를 입었던 불국사 다보탑, 첨성대 등 86건의 문화재 복구가 끝난 것으로 나타났다.문화재청은 지진 피해를 입은 지정문화재 100건(국가지정 52건, 시도지정 및 문화재자료 48건) 가운데 14건을 제외하고 문화재 복구작업을 마쳤다고 12일 밝혔다.문화재청에 따르면 복구 작업이 진행 중인 14건 가운데 옥개석 모서리가 파손된 보물 제1429호 경주 원원사지 동서 삼층석탑과 벽체가 훼손된 보물 제1727호 경주향교 대성전은 현재 복구 설계를 진행 중이다.성곽 일부에서 배흘림과 균열이 나타났던 사적 제386호 포항 장기읍성, 보광전 벽체와 지붕기와가 훼손되었던 국보 제30호 분황사 모전석탑 등 총 6건은 복구공사가 진행 중이다. 보물 제66호 경주 석빙고와 보물 제168호 경주 천군동 동서 삼층석탑 등 6건은 안전진단을 받고 있는 중이다. 한편 문화재청은 지진 방재와 관련해서는 실제 건축문화재를 그대로 축소한 모형을 만들어 건축문화재의 각종 보존 분석과 구조안전성 실험을 할 수 있는 연면적 625㎡ 규모의, 구조실험실과 재료실험실 등을 갖춘 ‘건축문화재 안정성 평가 시험연구시설’도 충북 충주시에 건립 중이라고 밝혔다. 또한 2021년까지 '문화재 맞춤형 지진위험지도 시스템 구축'과 건축 문화재 유형별(목조, 석조, 조적조 등)로 내진성능 진단기준 및 향상기준을 마련해 지진 등에 취약한 문화재 현황을 파악하고, 문화재의 보수·보강 시 내진성능을 향상할 수 있는 기법들을 적용해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