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신문=이은희 기자] 원자력안전위원회는 14일, 제73회 원자력안전위원회를 열고 ‘대형지진에 대비한 원자력시설 안전 개선대책’추진현황을 보고했다고 밝혔다.지난해 9·12 경주지진 이후 극한 지진재해에 대한 국내 원전의 대응능력을 보다 강화하기 위해 수립한 개선대책 총 6개 분야 23개 과제 중 9개 과제는 조치 완료됐고, 14개는 정상추진 중에 있으며 2021년까지 완료될 예정이다.특히, 원안위는 경주지진의 원인단층에 대한 정밀조사를 통해 단층의 특성을 규명하는 연구개발 과제(2021년까지 총 250억원 투자)를 올해 4월에 착수했다. 이에 따라 조사결과를 토대로 최대 잠재 지진 및 내진설계 기준 재평가를 실시해 원전의 내진설계기준 상향조정 등을 검토할 계획이다.이와 함께 현재 진행 중인 국내 원전의 안전정지유지계통의 내진보강(0.2g→0.3g)과 노형별 대표원전(고리3, 월성3, 한울3)의 핵심기능에 대한 내진성능 정밀평가에 대해서는 원안위의 적절성 검토와는 별도로 재점검을 추진한다. 민간위원으로 구성된 ‘내진검증 특별위원회’에서 독립적으로 재점검을 진행해 필요시 내진보강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원안위에 따르면 현재 가동원전 24기 중 21기에 대한 내진보강을 완료해 규제기관이 적절성을 검토 중에 있고, 나머지 3기(고리2, 한울1·2)는 2018년 6월까지 완료할 예정이다. 원안위 관계자는 "개선대책 추진상황 점검반을 구성해 주기적(반기)으로 진행상황을 점검하고, 현장 점검 체계를 강화하는 등 23개 과제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