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신문=이은희 기자]정부의 탈원전 에너지전환 로드맵 발표 다음날인 25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이하 과방위)가 울산시 울주군 서생면 신고리 원전 5·6호기 건설 현장을 찾았다.의원들은 3개월만에 일반공사가 재개된 신고리 원전 5·6호기 현장을 둘러본 후, 공론화위원회의 건설 재개 권고와 이를 수용하겠다는 정부의 입장 발표 등 탈원전 정책에 대한 정치적 공방을 이어갔다.이날 오후에는 새울원자력본부에 도착해 현장시찰에 앞서 한국수력원자력 관계자들로부터 현황 브리핑을 들었다.이관섭 한수원 사장은 "3개월 간 진행된 공론화위원회의 활동과 국민들의 관심으로 신고리 5·6호기 공사를 재개할 수 있게 되어 감사하다"며 "국민의 뜻을 엄숙히 받아들여 안전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원자력발전소를 운영하겠다"고 말했다.한수원의 원전 현황 브리핑 이후, 일시적인 공사 중단으로 인한 경제적 손실과 정부의 탈원전 정책에 대한 한수원의 입장, 공론화위원회 월권 여부 등이 지적됐다.자유한국당 이은권 의원은 "원자력은 우리나라의 순수한 자원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런 자원을 두고 국민들 사이에서 찬반양론이 갈리는 현상까지 왔다"면서 "대통령께서는 에너지 문제를 좀 더 심각하게 생각한 뒤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제기했다.이어 "한수원은 정부가 잘못된 정책을 펼칠 때 이에 반대하는 용기가 필요하다. 공기업이라는 이유만으로 정부의 정책에 무작정 따라가는 것은 옳지 않은 일"이라고 강조했다.국민의당 신용현 의원은 "신고리 5·6호기 건설 중단으로 협력사나 하도급 업체들이 엄청난 타격을 받았다"며 "1000억원의 손해보상 뿐만 아니라 눈에 보이지 않는 피해에 대한 보상도 필요할 것"이라고 주장했다.이에 대해 이관섭 사장은 "원전 건설 과정에서 투명성과 안정성이 보장될 수 있도록 여러 방면에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협력업체에 대한 정당한 보상 등 앞으로의 운영 과정에 차질이 없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답변했다.한편 한수원은 26일 이사회를 열고 협력사 피해보상 문제 등 신고리 5·6호기 공사 재개에 따른 후속 조치를 논의할 계획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