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신문=이은희 기자]  정부의 신규 원전 건설 백지화와 월성1호기 수명연장 불허방침으로 경주를 비롯한 경북 동해안이 직격탄을 맞았다. 원전축소 로드맵이 발표되면서 그간 원전 쪽에 투자됐던 비용의 피해 추정액이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원자력산업 전반의 위축이 예상됨에 따라 한수원 본사가 있는 경주지역에 연관업체 이전도 불투명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와 관련 경주시민들은 “2005년 주민투표를 통해 89.5% 찬성으로 중저준위 방폐장을 유치해 노무현 정부시절 19년만의 숙원을 해결하면서 정부의 칭찬이 대단했지만, 지금은 탈원전 정책 강행으로 한수원 협력업체 경주 유치가 어렵게 돼 지역경제가 직격탄을 맞았다”며 하소연했다. 특히 원전 인근 지역 주민들은 “신고리 5·6호기 건설 재개는 환영할 일이지만, 신규 원전 건설 백지화와 이미 7000억 원의 보수비를 들여 10년 연장을 허가해 재가동에 들어간 월성1호기를 조기 폐쇄할 경우 정부차원의 후속 대책이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원자력계 전문가들 또한 월성1호기를 올 연말 폐쇄할 경우 설비 용량, 평균 가동률, 전력 단가를 감안할 때 가동 포기 4년 11개월 동안의 전력 생산 손해액이 1조4991억 원에 달하고 부품교체비도 헛돈이 돼버린다고 지적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정부 출범 후 신고리5·6호기의 3개월간 가동 중단을 비롯해 신한울·천지 원전 건설 포기에 월성1호기 조기폐쇄까지 포함하면 이로 인한 피해 추정액이 3조원에 육박할 것으로 예상돼 충격을 주고 있다. 경주시민들은 “노무현 정부시절 국가적 난제인 방폐장을 유치한 경주시민들의 용단을 재평가해 탈원전 후속대책으로 원자력연구단지(원해연)를 반드시 경주에 유치되도록 정부의 결단이 있어야 한다”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