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신문=장성재 기자] '보성 안규홍·박제현 가옥', '곡성 성륜사 안심당·육화당', '원주 기독교 의료 선교 사택', '원주 육민관고등학교 창육관', '원주 제1야전군사령부 구 청사', '태안 동문리 근대한옥', '대한성공회 강화성당 제대 및 세례대', '문경 가은양조장', '조선내화주식회사 구 목포공장' 등 총 9건이 문화재로 5일 등록됐다. 항일독립 문화유산으로 등록문화재 제699호로 등록된 △보성 안규홍·박제현 가옥은 일제에 항거해 나라에 헌신한 공로로 머슴과 주인이 함께 독립유공자 서훈을 받은 유일한 곳이다. 한말 호남의병의 대표적 머슴 의병장이었던 안규홍(1879~1910)과 안규홍 의병부대의 군량관이었던 박제현(1871∼1909)이 살았던 보성군 법화마을에 있는 주거지이다. 안규홍 의병장이 약 20여 년간 담살이(머슴)를 했던 사랑채와 안규홍 의병부대에 군자금과 군수품을 지원했던 박제현의 안채가 원형대로 남아있어 역사적 가치가 높은 곳이다. 한말 의병장들의 생가나 주거지는 정읍 나용균 생가와 사당, 예천 윤우식 생가, 안동 임청각, 경주 최부자댁 등 4곳으로 현재 거의 남아 있지 않아 애국선열의 독립정신을 선양할 수 있는 역사적 교훈의 가치가 높은 곳이다. 근대문화유산 등록문화재 제701호 △원주 기독교 의료 선교 사택은 원주에 기독교가 전해지던 초기에 선교를 위해 1918년 세워진 주택으로 서양식 주택의 특징이 잘 나타난 건물이다. 원주 기독교 선교의 발상지이자 서구식 의료, 교육, 생활, 건축 등 근대문명의 유입 통로였던 일산동 언덕 일대의 서구식 건축물들 중 유일하게 현존하는 근대문화유산으로서, 원형도 잘 유지되어 있다. 원주 지역 개신교 선교활동의 역사를 증명해주는 유일한 현존 자료이기도 하다. 근대산업유산으로 가치를 인정받은 등록문화재 제706호 △문경 가은양조장은 1938년 건립된 양조장으로 생산을 위한 공간과 2층의 사무공간이 유기적으로 연결된 독특한 평면 구성을 보이며 건축형태와 구조 등이 전반적으로 원형의 모습을 잘 간직하고 있다. 특히, 천장 상부에는 별도의 왕겨 층을 설치해 양조과정에 필요한 온도, 습도 등을 조절하고 있는 등 근대기 양조장으로서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어 건축사적인 측면에서 충분한 가치를 인정 받았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