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신문=이은희 기자]경주시가 계속되는 가뭄으로 인한 용수부족 사태의 장기적인 해법으로 ‘다목적용수 저류시설’ 건설을 추진키로 하고 타당성검토 용역에 착수했다.
최근 경주지역은 가뭄이 극심해 덕동댐의 수위가 저하되고 농업용 저수지가 바닥을 드러내는 등 물부족 현상이 심화되면서 생활용수는 물론 올해 농사까지 걱정해야 될 정도로 심각한 상황에 처해있다.이에 경주시는 이 같은 물부족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 올 4월까지 농업용 대형저수지 저수율을 80%까지 올리는 일명 ‘80작전’에 총력을 기울이는 한편, 지역별 특성에 따른 관정 개발, 다단양수, 하천굴착 등 예산을 대거 투입해 긴급 대응에 나서고 있다.특히 매년 반복되는 가뭄 피해로 주민들의 걱정이 커지고 있어 근본적인 해결책 마련에 집중하고 있다. 6일 경주시에 따르면 지난해부터 대용량 저류시설 설치를 위해 수자원 계통 전문과와의 논의를 거쳐 지난 1월 이를 구체화하기 위한 타당성검토 용역을 발주했다. 해당 저류시설은 수량이 풍부한 여름철 형산강이나 하천에 흐르는 물을 이용하지 못하고 그대로 흘려보내 아까운 수자원을 낭비하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돼 이를 효율적으로 이용하고자 계획됐다.타 도시 사례의 경우, 여름철 태풍이나 집중호우로 불어난 물을 도심지 저류시설에 임시로 저장해 하천범람을 방지하는 치수 중심의 시설이었다면, 경주시는 여기에 비상 시 농업용수와 생활용수로 이용할 수 있는 방법까지 고려한 다목적용수 저류시설로 검토하고 있다.경주시 관계자는 “이번 우수기 하천 여유수의 효율적인 물관리를 통해 가뭄과 홍수 등 물 관련 자연재해를 한 번에 해결할 수 있는 획기적인 방법이 될 것"이라며, "이번 용역결과를 토대로 국비 확보 등 사업 추진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