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신문=이은희 기자](사)전국오징어생산자단체연합회(회장 하원 경주시수협조합장)가 지난 22일 총회 및 이사회를 열고 재발족을 선언했다. 이날 동해안의 일선 수협과 오징어채낚기연합회 등 14개 오징어생산자단체 회원들이 참여한 연합회는 중국어선의 북한수역 입어 및 남획으로 인한 오징어 어획량의 급감에 공동 대응키로 했다. 또한 오징어 자원관리 계획을 수립하고 지속가능한 계획 생산을 유도해 나갈 방침이다. 하원 회장은 “이제 전국 어업인들이 한목소리로 미래수산을 설계하고 지속가능한 수산환경 및 제도를 개선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면서 “연합회 재결성을 통해 수산 현안 건의 및 수산정책 입법 시 오징어 생산자단체 공통의견을 제시하겠다”고 밝혔다.
연합회에 따르면 현재 수산업은 중국어선의 불법조업과 바다모래채취 등으로 연근해 어업생산량이 100만톤 이하로 줄어들었고, 모 업종은 경영악화로 인해 도산하는 등 최악의 피해를 보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국민들의 절대적인 사랑을 받고 있는 오징어의 경우 생산량이 2003년부터 최근까지 73% 급감하고 있는 반면, 중국의 오징어 생산량은 50% 넘게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또한 2004년 중국어선의 북한수역 최초 입어 후 매년 증가하면서 지난해는 1,700여척에 달했고, 북한수역에서 남하하는 오징어를 싹쓸이 조업함에 따라 이제 오징어가 멸종어종으로 위협받고 있다. 하지만 최근 남북 간의 화해 분위기가 형성되면서 경제협력을 위한 방안이 마련되는 등 수산업에 대한 영향도 클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에 연합회는 예정된 남북정상회담 및 실무회담과 관련해 북한 수역에서 조업활동이 가능토록 하기 위한 조치를 기대하고 있다.북한이 중국에 한 척당 연간 3~4만 달러의 입어료를 받고 수역을 개방해 연간 3~6천만 달러의 수입을 거두고 있어, 우리나라도 입어료를 지불하고 북한수역에서 조업을 희망하기 때문이다.이와 관련해 연합회는 근해어선이 북한수역에서 조업활동을 할 수 있다면 중국어선과는 경쟁력을 갖추고, 간접적으로는 남획방지 효과를 거둘 수 있는데다 중국어선의 불법조업 또한 상시 감시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하원 회장은 “북한수역에서 조업한다는 자체만으로도 수익성의 문제 이전에 한반도 평화정착에 획기적인 일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