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지역기업이 '2018 러시아 모스크바 춘계 인터참(Intercharm Professional Moscow 2018)'에 참가해 총 83건 1260만여 달러 규모의 수출상담 실적을 올리는 등 K-뷰티 제품의 러시아 진출에 청신호를 켰다.대구테크노파크(대구TP)는 지난 4월 25일부터 27일까지 3일간 러시아 모스크바의 크로커스 엑스포 국제 전시장에서 열린 이 행사에 지역기업의 참가를 지원해 이 같은 성과를 냈으며 현지에서 체결한 계약금액은 54만 달러에 이른다고 밝혔다.이번 전시회는 대구시가 지원하는 'K-뷰티 수출 컨소시엄 지원사업'의 하나로 ㈜에스엘씨,㈜엠알이노베이션, ㈜유바이오메드, 허브어스, ㈜허브누리, ㈜루비크라운 등 대구에 소재한 뷰티 관련 6개사가 참가했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 자료에 따르면 2016년 기준 러시아 뷰티제품 시장규모는 91억4000만억 달러로 전 세계 시장의 2%를 차지하고 있다.오는 2020년까지 연간 1~3% 수준으로 꾸준히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우리나라는 지난 2016년 4800만 달러의 화장품 수출액을 기록해 2012년 대비 161%의 급등세를 보이는 주목받는 시장이다. 마스크 팩을 전문으로 생산하는 에스엘씨는 러시아 현지 기업인 비엔씨 글로벌과 자사의 주력 제품인 모델링 마스크 팩(브랜드명 엘모르)을 10만 달러 규모로 납품키로 하는 계약을 맺었다. 또 다른 현지 기업 한 곳과는 갤 미스트, 산소 에센스, 리프팅 팩 등의 공급에 대한 추가적인 논의가 진행 중에 있다.유바이오메드는 헬리나 인터내셔날과 마스크 팩, 아이 패치 제품의 러시아 현지 판매에 관한 독점 계약을 체결했다. 총 계약 규모는 6만 달러다. 아울러 현지 유통기업인 트래더와 3만 달러 규모의 아이 패치와 헤어 제품 공급에 대한 계약도 함께 맺었다. 트래더는 유바이오메드로부터 수입한 제품을 중동 시장에 선보일 예정이다. 또 엠알이노베이션은 현지 의료기업인 A사에 기초 화장품을, 허브어스는 러시아 현지 파트너인 바이오 컨셉트(Bio Concept)에 한방 샴푸 제품을 각각 20만 달러, 15만 달러 규모로 수출키로 했다.대구TP 박진석 한방산업지원센터장은 "러시아 시장은 그동안 중국을 중심으로 한 아시아 시장에 편중된 수출 전략을 다변화할 수 있는 매력적인 곳"이라며 "다만 수출에 필요한 인증서 발급, 러시아어 표기 등이 요구됨에 따라 관련 지원을 통해 지역 기업들의 성공적인 연착륙을 이끌어 낼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올해로 25주년을 맞는 '러시아 모스크바 춘계 인터참'은 추계 인터참과 함께 러시아 미용 관련 최대 규모의 뷰티 전문 무역 전시회로 48개국 2500여개의 브랜드 450여 업체가 참가했다.
김범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