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패션산업연구원이 ㈜피앤티디와 대한방직㈜, 한국섬유개발연구원과 공동기술개발을 통해 난연소재·제전사·천연소재 및 기능성 가공을 적용한 시티웨어룩 안전보호복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연구원에 따르면 글로벌전문기술개발사업의 하나로 2016년 6월부터 2년간 진행한 이번 기술개발과제는 중공업·석유화학분야의 실내외 작업현장에서 순간적인 불꽃 발생에 의한 화재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한 필수적 방염기능성이 있는 작업복을 개발하는 것이다.기존 산업근로자 작업복의 경우 PET가 혼합된 cotton소재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어 화재나 정전기 발생 등 작업환경 중 발생 할 수 있는 상황에 대처하기에는 소재적인 부족함이 있고, 화재와 정전기에 최적화된 소재인 아라미드와 같은 난연소재는 고가로 인해 보급 확대에는 부담이 되는 상황이었다.이에 연구원은 이번 기술개발을 통해 난연성·대전방지성 등 기본성능을 만족하면서도 가격대는 기존 난연복에 비해 낮춤으로써 기업의 가격부담을 줄였다.또 동작편의성·쾌적성·패션성을 가미해 산업현장에서뿐 아니라 일상에서도 자연스럽게 입을 수 있는 보호용 시티웨어의 개념으로도 확산이 가능하도록 개발했다. 아울러 난연소재(Modacryl, FR-rayon)와 대전방지소재(Antistatic), 천연섬유(Cotton)와 재생섬유(Excel) 최적비율의 복합방적사 직물원단(미들웨어용, 아우터웨어용) 및 니트원단(이너웨어용)을 개발했고 Body mapping 과 FR-zone분석 적용을 통해 착용쾌적성과 가격경쟁력을 갖춘 완제품으로 개발했다.특히 디자이너 브랜드 소윙바운더리스에서 디자인개발 및 완제품제작에 참여해 일반적인 산업용 작업복을 벗어나 시티웨어로도 충분히 착용가능하다. 한국패션산업연구원 관계자는 "각종 보호복·보호장구 착용과 관련된 안전기준을 법제화하고 기업들이 근로자의 안전보호복 착용을 의무화시키도록 해 개발제품의 수요는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며 "시티웨어의 개념을 적용시킨 이 제품을 통해 사회전반의 PPW 보급이 트렌드로 자리 잡을 수 있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김범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