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에서 유일하게 대구 아파트 분양시장이 호황을 누리고 있지만 역외 기업들의 그들만의 잔치로 문제시 되고 있는 가운데, 지난 30일 대구경북광고산업협회는 대구시 건축과와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간담회를 가졌다.  간담회에는 대구시 건축주택과 우상정 과장 및 관계자와 엄복태 회장을 비롯한 대구경북광고산업협회 회원사가 참석했다.  실제로, 올 상반기 대구지역에 신규 분양 아파트는 13개 단지 7,184세대로, 작년 전체 분양물량(4,824세대)의 2배에 가까운 수치이지만, 이 중에 지역 건설업체가 분양한 것은 우방아이유쉘 1개 단지가 전부다.  사정이 이러하다보니 대구지역 신규아파트 분양시장이 전국에서 유일하게 대성황을 누리고 있지만 광고 등 건설관련 협력업체들은 일거리가 없어 불황에 시달리고 있다.   외지업체들은 대구지역에서 사업을 하더라도 대구지역 협력업체들과 업무를 진행하지 않고 대부분 해당지역 업체들이 따라 들어오고 있기 때문이다.  올 한해 분양예정인 32개 단지 중 80%가 외지 건설사 사업으로 앞으로도 이 같은 현상은 더욱 심화될 것으로 보이며, 지역 경제 활성화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5월말까지 대구는 중구 남산동 이편한세상을 시작으로 힐스테이트 범어까지 13개 단지7,184세대가 신규 공급했으나, 지역광고대행사가 광고를 맡은 단지는 국가산단 반도유보라 2·3차, 연경지구 우방아이유쉘 등 3개 단지뿐인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분양에서 준공까지, 한 건설현장에 200여 협력업체가 참여하는 건설업의 특성을 감안하면 지역경제와 지역일자리창출이라는 차원에서 지자체의 대책마련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이날 간담회에서 대구경북광고산업협회 대표들은 "지역경제 후방연쇄효과를 위해서는 지역건설경기를 활성화 시키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다"며, "공공택지의 경우 지역건설업체 우선분양 시행이나 지역업체 용적률 인센티브제도 등을 통해서 지역에서 아파트사업을 할 수 있는 건설회사가 더 늘어날 수 있도록 정책적 배려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특히 광고산업 업계는 하부 협력업체가 100% 지역 업체이고 또 발주 가능하므로 광고는 반드시 지역업체에게 기회가 주어져야한다"며, "광고를 비롯한 분양관련 지역협력업체들이 지역 신규분양사업에 함께 할 수 있는 시스템이 되도록 지자체에서 적극적으로 살펴봐 달라"고 요청하기도 했다.  시관계자는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지자체가 힘을 합해 노력하는 일은 당연한 일이며, 하루아침에 해결되기 어렵더라도 정기적인 모임을 가져 하나씩 해결해 가도록 노력하자"며, "사업계획 단계에서부터 정보를 공유하며 지역업체 수주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실제로 2014년에도 대구경북광고산업협회와 대구시 도시건설국과 간담회를 개최하고, 시에서 데스크포스팀을 운영해 대구 사업지에서 분양하는 외지건설사들의 광고수주를 지역업체들이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성과를 보인 사례가 있다.  엄복태 대구경북광고산업협회장은 "실제로 아파트분양사업은 그 어떤 업종보다 지역연고성이 강한 분야라, 지역의 분양광고는 지역의 업체가 진행하는 것이 분양률제고에 대한 기여와 향후 미분양관리나 경제적인 운영에서도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