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테크노파크(대구TP)가 지역 소재부품 관련 기업의 글로벌 역량 강화를 위한 프로젝트를 본격 가동한다.
대구TP 나노융합실용화센터는 11일 산업부와 대구시의 공동지원으로 오는 2022년까지 5년간 총 33억여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첨단 제조기술의 융합을 통한 지역 소재부품기업의 제조혁신을 이끌어낼 것이라고 밝혔다.
지원 분야는 ▲로봇 등 하드웨어를 지원하는 '생산현장 로봇활용 공정고도화 사업' ▲소프트웨어 구축을 지원하는 '지능형 제조혁신기술 적용 생산성향상 사업' ▲마케팅, 산업&특허분석, 시장조사 등을 지원하는 '제조혁신 대상제품 시장경쟁력 강화 사업' 등 총 세 가지 부문으로 구성돼 있다.
올해의 경우 6억여원의 사업비를 지원할 예정으로 사전공모 및 평가를 거쳐 지난 5월말 17개의 지원기업 선정을 마쳤다. 
가정용 및 산업용 톱 제조업체인 대건금속은 톱날을 벌리는 공정에서 작업자의 안전 문제와 수작업으로 인한 생산성 하락이라는 이중고에 시달리고 있었다.
하지만 자동화 공정 로봇 도입으로 약 2배 이상의 생산성 향상을 통해 전년대비 15억여원 이상의 매출증대를 꾀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또 작업장 환경도 함께 개선될 예정으로 신규 고용 창출에서도 일정부분 효과를 볼 것으로 기대한다.
기계공업의 핵심부품인 공압 실린더 전문 제조업체인 ㈜미주테크는 생산공정 과정에서 전기 에너지 손실과 전기기로가 셧다운 되는 상황과 마주하면서 고민에 봉착했다.
하지만 지능형 전력피크 저감 시스템 도입으로 20% 이상의 에너지 절감과 함께 제조공정 시간 단축까지 두 마리 토끼를 쫓을 예정이다.
대구TP는 올 한 해 기업별 맞춤형 지원을 통해 전체 지원기업 평균 생산량 20% 및 매출 10억여원 이상 각각 끌어올린다는 목표로 이 사업을 통해 개선된 효과를 지역 기업들에게 지속적으로 알림으로써 내년도 사업의 참여 확대도 함께 꾀할 예정이다.
최정건 대구TP 나노융합실용화센터장은 "소재부품산업을 비롯한 제조업은 전후방 산업에 대한 파급효과가 커 일자리창출에서도 크게 기여하는 분야"라며 "지역 소재부품산업을 4차 산업혁명에 선도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경쟁력을 갖추도록 체질개선을 이뤄내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