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가 지난 23일 청년일자리 해법을 모색하기 위해 '대구 청년 일자리 民·官 거버넌스 협의회'를 발족했다. 협의회는 민·관 워킹 그룹 24명과 산·학 워킹그룹 22명 등 총 46명 위원으로 구성됐으며 지역사회와 청년들의 의견수렴·평가·환류과정을 통한 정책모델 개발과 범시민 청년일자리 공감대 확산 및 정책 홍보활동을 수행하게 된다. 내년 최저임금 10.9% 인상에 따른 도소매업 등 소상공인 경영부담이 가중되고 동 업종에 청년 고용비중이 높은 점을 감안하면 대구 청년 고용시장 침체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는 가운데 이날 협회의는 이에 대한 대응방안도 논의했다. 현재 대구 청년 고용률은 2018년 2/4분기 기준 36.8%로 전국 42.5% 대비 5.7% 낮고, 청년 실업률 13.6%로 전국 10.1% 대비 3.5% 높은 편이다. 이는 높은 학생비중으로 인한 비경제활동인구 비중이 높고 공무원, 전문직 등 편중된 직업선호도로 분석된다. 이에 시는 청년 일자리 브릿지 프로젝트 9000개, 지역 고용특성에 맞는 양질의 기업 일자리 2400개, 근무환경 개선 통한 일자리 1000개 등 총 1만3000개 일자리를 통한 청년 고용률 3% 추가 달성을 목표로 매진해 오고 있다. 특히 올해 하반기 역점시책은 지역주도형 청년 일자리사업으로 총 23개 사업, 152억원, 799개 일자리, 창업공간 2곳으로 전국 지자체 중 3번째 대규모이다. 대표적 사업인 고용친화 대표기업 청년 취업사업은 고용친화 지정 50개사, 미취업 청년 취업자 130명에게 인건비를 지원하며, 대구패션스트리트 조성사업은 컨테이너 58개 활용, 창업 50팀을 육성한다. 또 청년 Pre-Job 지원사업은 공사공단, 출자출연기관에 청년층 100명에게 일경험 축적을 도모하는 사업이다. 신경섭 시 일자리경제본부장은 “현장을 제대로 이해하지 않고서는 제대로 작동하는 청년일자리 해법 정책을 만들기 어렵다"며 "民·官 거버넌스를 통한 현장 목소리에 귀 기울이면서 일자리 정책 모델을 계속 발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