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감정원(원장 김학규)이 2018년 7월 4주(7.23일 기준) 전국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을 조사한 결과, 매매가격은 0.06% 하락, 전세가격은 0.08% 하락했다.󰊱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 동향[전국 : -0.06%] 전국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은 지난주 대비 하락폭이 소폭 확대됐다. 수도권(0.02%→-0.01%)은 하락 전환, 서울(0.10%→0.11%)은 상승폭 확대, 지방(-0.09%→-0.12%)은 하락폭 확대(5대광역시(-0.05%→-0.07%), 8개도(-0.13%→-0.16%), 세종(0.05%→0.00%))됐다.시도별로는 서울(0.11%), 광주(0.05%), 전남(0.03%), 대구(0.02%), 대전(0.01%)은 상승, 세종(0.00%)은 보합, 울산(-0.32%), 경남(-0.29%), 충남(-0.21%), 경북(-0.20%), 부산(-0.13%) 등은 하락했다.공표지역 176개 시군구 중 지난주 대비 상승 지역(65→59개)은 감소, 보합 지역(15→18개) 및 하락 지역(96→99개)은 증가했다. [수도권 : -0.01%] 서울 0.11% 상승, 인천 0.13% 하락, 경기 0.05% 하락[서울] 상승폭 확대 : +0.10% → +0.11%(강북 14개구 : +0.13%) 용산구(+0.26%)는 마스터플랜 발표 기대감으로, 은평구(+0.24%)는 교통호재(신분당선 서북부 연장사업 예타 조사대상 선정)와 재건축 기대감으로 상승폭 확대됐으나, 종로구(+0.14%)·성동구(0.12%) 등은 상승폭 축소되며 전체적으로 지난주 상승폭 유지(강남 11개구 : +0.09%) 영등포구(+0.23%)는 여의도 통합 개발계획 기대감 등으로 상승세 이어갔고, 강남구(+0.07%)와 송파구(+0.05)는 대체로 보합세이나 그간 낙폭이 컸던 잠실․대치․개포동에서 저가매물이 빠르게 소진되며 상승하여 전체적으로 지난주 대비 상승폭 소폭 확대 (0.08% → 0.09%)[인천] 하락폭 확대 : -0.04% → -0.13%연수구(-0.32%)는 부동산시장 침체로 부동산 거래가 감소하는 가운데, 송도동 등에서 저가매물 누적되며 하락폭 확대[경기] 하락폭 확대 : -0.02% → -0.05%(광명 : +0.15%) 철산동 재건축 분양 영향으로 인근아파트에서 상승(안산 상록구 : -0.79%) 화성․시흥․단원구 입주물량 증가로 하락[지방 : -0.12%] 5대광역시 0.07% 하락, 8개도 0.16% 하락, 세종 0.00% 보합[5대광역시] 하락폭 확대 : -0.05% → -0.07%(대전 : +0.01%) 시중은행 주택담보대출 금리인상 등에 따른 매수자 관망세 확산으로 대덕구(-0.08%)와 동구(-0.04%) 하락 전환(울산 : -0.32%) 경기침체에 따른 인구유출과 ’17년부터 급증한 입주물량* 누적으로 전 지역에서 하락세[8개도] 하락폭 확대 : -0.13% → -0.16%(전남 : +0.03%) 순천시(+0.12%)는 신대배후단지 공급 증가속에서도 학군과 교통여건 양호한 연향․풍덕동 등에서 상승(충남 : -0.21%) 입주물량이 급증한 천안시 동남구(-0.48%)와 서산시(-0.43%) 등 대부분 지역에서 하락하며 전체적으로 하락폭 확대[세종] 보합 전환 : +0.05% → 0.00%입지여건이 상대적으로 불리한 고운동과 공급물량 누적된 나성동 등에서 하락하며 보합 전환󰊲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 동향[전국 : -0.08%] 전국 주간 아파트 전세가격은 지난주 하락폭을 유지했다. 지역별로 수도권(-0.06%→-0.07%)은 하락폭 확대, 서울(0.06%→0.03%)은 상승폭 축소, 지방(-0.10%→-0.09%)은 하락폭 축소(5대광역시(-0.08%→-0.08%), 8개도(-0.11%→-0.09%), 세종(-0.54%→-0.36%))됐다. 시도별로는 서울(0.03%), 전남(0.01%)은 상승, 광주(0.00%)는 보합, 세종(-0.36%), 울산(-0.34%), 제주(-0.28%) 등은 하락했다.공표지역 176개 시군구 중 지난주 대비 상승 지역(31→40개)은 증가, 보합 지역(38→32개) 및 하락 지역(107→104개)은 감소했다.[수도권 : -0.07%] 서울 0.03% 상승, 인천 0.15% 하락, 경기 0.12% 하락[서울] 상승폭 축소 : +0.06% → +0.03%(강북 14개구 : +0.04%) 마포구(+0.10%)는 한강 조망이 가능한 단지 위주로, 종로구(+0.10%)는 직주근접 수요로 상승하였으나, 광진구(-0.06%)는 인근 지역 신규 입주물량 영향으로 하락(강남 11개구 : +0.03%) 동작구(+0.22%)와 서초구(+0.20%)는 반포․방배동 정비사업 이주수요로 상승하였으나, 강서구(-0.14%)는 계절적 비수기 등에 따른 수요 감소로 하락[인천] 하락폭 확대 : -0.05% → -0.15%신규공급 누적 영향으로 연수구(-0.39%) 등을 중심으로 하락폭 확대[경기] 하락폭 축소 : -0.13% → -0.12%(오산 : +0.14%) 신혼부부 등 학군에 신경쓰지 않는 세대의 신축단지 선호로 상승 전환(안산 상록구 : -0.97%) 인접 지역(화성·시흥시 등) 신규 입주물량 증가로 신축단지를 선호하는 수요가 타지역으로 이동하며 하락[지방 : -0.09%] 5대광역시 0.08% 하락, 8개도 0.09% 하락, 세종 0.36% 하락[5대광역시] 하락폭 유지 : -0.08% → -0.08%(광주 : 0.00%) 서구(+0.05%)는 이주수요 등으로 상승, 동구(-0.21%)는 노후단지 선호도 감소로 하락하는 등 지역별로 혼조세를 보이며 보합(울산 : -0.34%) 지역 기반산업 침체, 입주물량 증가로 하락세 지속[8개도] 하락폭 축소 : -0.11% → -0.09%(전남 : +0.01%) 무안군(+0.04%) 등은 상승, 순천시(-0.02%)는 하락(제주 : -0.28%) 계절적 비수기에 따른 매물 누적, 신규공급 누적 등으로 서귀포시(-0.35%)와 제주시(-0.26%) 모두 하락폭 확대ㅇ 주간아파트가격동향에 대한 세부자료는 한국감정원 부동산통계정보시스템 R-ONE(www.r-one.co.kr) 또는 한국감정원 부동산정보 앱*(스마트폰)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