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상공회의소는 올 7월 1일부터 주당 법정 근로시간이 68시간에서 52시간으로 단축됨에 따라 지역기업의 혼선을 최소화하고, 올바른 대응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실태조사에 나섰다.포항상의는 7월 16~27일 지역기업 51개사를 대상으로 △직종별 주당 총 근로시간 △근로시간 단축 시행이 미칠 영향 (사업장 기준·근로자 기준) △근로시간 단축 준비·대응 방안 △신규채용 및 교대근무 변화 △정부 지원대책 및 개선사항 △포괄임금제 적용 여부를 조사했다.조사결과 지역업체들은 근로시간 단축에 대비해 유연근무제 활성화와 집중근무시간 운영, 설비투자 및 작업공정 개선 등을 검토하고 있으며, 아직 구체적인 대응방안을 마련하지 못하고 있는 업체도 상당수에 달했다.7월 1일부터 주52시간 근무제가 시행되면서 업종별, 근로자별 명암이 더욱 확연해지고 있으며, 특히 제조업, 건설업을 중심으로 생산성 저하 및 인건비 부담 증대, 급여감소, 구인난 등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특히 근로시간 단축 시행제도가 사업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으로 응답한 업체비율이 63%에 이르며 '실질임금 감소에 따른 근로자 반발'과 '생산성 저하로 납기대응능력 약화' '대체인력 채용이 어려워 인력난 가중'을 가장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따라서 기업은 근로자 임금 감소분에 대한 보전과 신규 채용시 인건비 지원을 가장 필요로 하는 기업지원 대책으로 꼽고 있으며, 정부 정책이 제대로 정착하기 위해서는 정부의 재정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봤다.또한, 근로시간 단축법안에서 개선이 필요한 사항으로 현장의 특수성을 고려해 노사합의시 연장근로 추가허용 및 탄력적근로시간제도 기간확대 등 제도적인 보완을 요구하고 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