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시는 30일 포스코국제관 대회의실에서 경상북도·포스텍과 공동으로 '4세대 방사광가속기 기반 신약개발 국제 심포지엄'을 개최했다. 심포지엄은 세포막단백질 구조기반 신약개발을 주제로 국내외의 세포막단백질 구조분석·신약개발 전문가 150여 명이 참석해 신약개발 분야의 비전과 방향을 제시하고 최신 연구동향을 공유했다.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해 포항시의 새로운 성장동력 발굴과 바이오산업의 효율적인 추진을 위해 해외 가속기 기반 신약개발 연구기관과의 협력사업의 일환으로 개최됐다. 이날 전우헌 경상북도 경제부지사, 최웅 포항시 부시장, 고인수 포항가속기연구소장, 김도연 포스텍총장 등이 참석하여 포항이 신약개발 분야에서 주도적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대응전략을 모색했다. 기조연설에서 스위스 PSI(Paul Scherrer Institute)의 쉐틀러 교수는 '레티놀 단백질의 상온 단백질 결정학' 연구에 대해 설명하며 4세대 방사광가속기를 활용한 세포막단백질 구조분석이 필수적임을 강조했다. 이어 ▲애리조나주립대의 웨이 뤼우 교수는 ‘4세대 방사광가속기로 분석한 새로운 형태의 인체세포막단백질 구조’ ▲영국 다이아몬드 광원 연구소(Diamond Light Source)의 페이쥔 쟝 교수는 ‘혼종시료에 대한 고분해능의 단백질 구조 규명’ ▲제임스 나이스미스 교수는 ‘방사광가속기 활용 연구를 지원하는 Harwell 연구장치’를 발표하며 방사광가속기를 이용한 세포막단백질의 구조규명 및 해외 최신 연구동향을 소개했다.특히, ‘4세대 방사광가속기를 활용한 막단백질 구조분석 프로세스’ 부문에서는 서울대 하남출 교수를 좌장으로 국내 조은성 교수, 박재현 연구원, 남기현 교수가 참여해 4세대 방사광가속기의 연속 펨토초 결정학 프로그램 등 국내 연구사례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한편, 포항시 미래전략 5대 핵심산업 중의 첫 번째가 바이오산업이며 이러한 바이오 산업육성을 위해 가속기 기반 신약개발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