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년도 도시재생 뉴딜 사업지 총 99곳이 최종 선정되었다. 경북은 포항시 송도동과 경주시 황오동, 구미시 원평동 등 8곳, 대구는 북구 산격동 등 7곳 15개 지역이 포함됐다.정부는 이낙연 국무총리 주재로 31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제13차 도시재생특별위원회를 열고, '2018년도 도시재생 뉴딜사업 선정안'을 의결했다.이번에 선정된 사업 중 파급효과가 큰 중·대규모 사업인 '경제기반형·중심시가지형' 20곳은 지역의 쇠퇴한 산업기반을 회복토록 해 지역경제 활력을 제고하고 지역 내 일자리를 창출할 방침이다.올해 선정지역은 99곳으로 전년도 68곳에 비해 대폭 확대하였으며, 전국적인 인구감소 지역 증가와 고령화 가속화 등에 따른 도시소멸 위기에 시급히 대응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된다.도시재생 뉴딜사업은 시·도선정 사업유형인 우리동네살리기(5만㎡ 이하), 주거지지원형(5만∼10만㎡), 일반근린형(10만∼15만㎡)과 중앙정부 선정 사업유형인 중심시가지형(20만㎡), 경제기반형(50만㎡) 및 공공기관이 제안하는 사업 등으로 구분된다. 올해는 전체 사업의 약 70%(69곳)를 시·도에서 선정하게 하여 지역의 권한과 책임을 강화했으며, 중앙정부는 약 30%(30곳)를 선정하였으며, 유형별로 우리동네살리기 17곳, 주거지지원형 28곳, 일반근린형 34곳, 중심시가지형 17곳, 경제기반형 3곳이다. 총사업비는 국비 9738억원을 포함해 지방비, 공공기관 투자, 민간투자 등 총 7조9111억원 규모이다.
시도별로는 경기가 9곳으로 가장 많고 경북, 경남이 각 8곳, 서울과 부산, 대구, 강원, 전북이 각 7곳, 충남 6곳, 인천과 광주 각 5곳, 울산과 충북 각 4곳, 대전 3곳, 제주와 세종 각 2곳 순이다.또, 이번 뉴딜사업에 포함된 서울시의 일부 지역이 투기지역으로 추가 지정되는 등 부동산시장이 과열양상을 보이고 있음을 감안해 서울시 동대문구(경제기반형), 종로구(중심시가지형), 금천구(중심시가지형)의 중·대규모 사업은 배제하였으며 나머지 지역도 향후 부동산시장 과열 조짐이 나타날 경우 승인을 보류하고 추진시기 조정 또는 선정을 취소하는 것을 조건으로 선정하였다.경북은 △포항시 송도동 'ICT 기반 해양산업 플랫폼 포항' △경주시 황오동 '이천년 고도(古都) 경주의 부활' △구미시 원평동 '도시재생:구미(龜尾, 口味)를 당기다' △영천시 완산동 '사람과 별빛이 머무는 완산뜨락' △경산시 서상동 '서상길 청년뉴딜문화마을' △의성군 의성읍 '마늘을 사랑한 영미, 활력 넘치는 희망의성' △성주군 성주읍 '꿈과 희망이 스며드는, 깃듦 성주' △포항시 신흥동 '함께 가꾸는 삶터, 모갈숲 안포가도 마을' 등 8곳이다.대구는 △북구 산격동 '청년문화와 기술의 융합 놀이터, 경북대 혁신타운' △북구 복현1동 '피란민촌의 재탄생, 어울림 마을 福현' △중구 포정동 '다시 뛰는 대구의 심장! 성내' △중구 동산동 '동산과 계산을 잇는 골목길, 모두가 행복한 미래로 가는 길' △달서구 죽전동 '죽전(竹田) 대나무꽃 만발 스토리' △서구 비산동 '스스로, 그리고 더불어 건강한 진동촌 백년마을' △남구 이천동 '시간 풍경이 흐르는 배나무샘골' 등 7곳이다.정부는 이번 사업선정을 통하여 지역경제의 활력 제고, 기초생활인프라 확충 등 주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생활여건을 개선할 수 있도록 지역밀착형 생활 SOC를 구축하는 데 범정부적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다. 특히 부처 간 협업을 강화해 주차장, 도서관, 체육시설 등 각 부처의 생활 SOC 투자를 도시재생과 연계하는 한편, 도시재생 뉴딜사업에 생활 SOC를 추가해 지원하는 방안도 검토해 나갈 예정이다.이번 선정사업 중 아직 전략계획이 수립되지 않은 지역은 올해 하반기부터 선도지역으로 지정해 사업절차를 간소화한다.이를 포함한 전체 선정지역은 실현가능성과 타당성 평가절차를 거쳐 사업내용을 구체화하고 총사업비와 국비지원규모 등을 확정하기 된다. 또, 사업지의 부동산 시장을 지속적으로 점검할 예정이며, 사업 추진이 부진하거나 부동산 시장이 과열되는 경우 사업 선정을 취소하거나 이듬해 사업 선정 과정에서 불이익을 줄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