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중국의 교역환경 악화에도 올해 상반기 대구의 FTA(자유무역협정) 체결국 수출이 성장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상공회의소 FTA활용지원센터가 발표한 '2018년 상반기 대구지역 FTA체결국 교역현황' 조사에 따르면 지역의 상반기 FTA 체결국 수출입 실적은 48억7200만달러로 전년대비 16.6%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액은 30억2300만달러로 지난해 상반기대비 19.9% 증가, 수입액은 18억4900만달러로 11.5% 증가했다. 이는 대구전체 수출입 증감률인 14%를 웃도는 수치다 무역수지는 11억7400만달러 흑자를 기록해 전년 동기대비 3억6800만달러 증가했다. FTA 체결국이 대구지역 전체 교역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75.9%로, 전국 평균(67.6%)보다 활용 유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품목은 자동차부품(14.3%)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고 기계류(5.3%), 펌프(5.1%), 고속도강 및 초경공구(4.5%) 등의 순이었다. 대미 수출은 6억8100만달러로 지난해 상반기보다 두 자릿수의 증가율(18%)을 보였다. 대구지역 대미 무역수지도 한미FTA가 타결된 2012년 이후 지속해서 흑자를 유지해오고 있다.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문제로 인한 한중 갈등 속에서 지역 최대 교역국인 중국과의 수출입도 모두 성장세를 보였다. 올해 상반기 대중 수출액(9억2300만달러)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8.7%, 수입액(11억1500만달러)은 13% 늘었다. 대베트남 수출액(2억5000만달러)도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38.7%, 수입액(7400만달러)은 24% 증가했다. 이재경 대구상공회의소 상근부회장은 "하반기 미·중 무역분쟁이 지속할 경우 수출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여 지역기업들이 FTA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대구FTA센터에서 진행하고 있는 컨설팅, 교육 등 다양한 지원 사업을 적극 활용해 줄 것을 당부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