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선 7기 경북호가 저출생 극복과 일자리 창출로 이어지는 도정 핵심의 경북 희망둥이 1,2,3 프로젝트를 수립 추진에 나섰다.
도는 지속적인 총인구 감소, 자연적·사회적 순유출이 심화되고 젊은 인구가 유출되는 여건 속에서 저출생 문제를 선도적으로 해결하고자 '경상북도 저출생 대응 종합계획 (경북 희망둥이 1.2.3프로젝트)'를 수립·추진한다.
'경상북도 저출생 대응 종합계획'은 경북도 저출생 대책을 체계적으로 추진하고자 그동안의 저출생 대응 추진성과를 분석하고 미흡한 점을 보완했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도정핵심을 '일자리와 아이'키워드로 아이 행복한 젊은 경북을 4대 목표중 하나로 설정하고, 임기 내 경북 합계출산율 1.5명을 목표로 저출생 대책을 추진하기로 했다.
'아이낳고 키우기 좋은 경상북도'목표를 달성하고자 취업-결혼-출산이라는 선순환 구조를 복원하고, 임신과 출산에서부터 육아와 돌봄까지 도와 지역사회가 함께 책임진다.
최근 통계청의 출산 통계를 보면, 우리나라는 2017년 합계출산율(가임여성 1명당 출생아수)이 1.05명을 기록하고, 경북도는 합계출산율이 1.26으로 OECD(평균 합계출산율 1.68명) 회원국 중 하위권에 머물러 있다.
또 지난 8월 '한국의 지방소멸 2018보고서(한국고용정보원)'에 따르면 30년 이내에 사라질 위기에 처한 전국 89개 지자체에 도내 19개 시군이나 포함되는 것으로 나타나, 경북은 지방소멸 위험지역에 직면해 있어, 인구절벽과 지방소멸은 먼 미래의 이야기가 아니라 지금의 현실이라는 위기의식을 가지고 2022년까지 추진할 5대 중점 추진과제를 마련했다.
5대과제는 ▲ 젊은인구 선호 생태계조성 ▲ 건강한 결혼문화 조성 ▲ 임신에서 육아까지 촘촘한 돌봄환경 구축 ▲ 아이와 함께하는 일-생활균형, 양성평등 ▲ 저출생 극복 대응기반 마련 및 공감대 형성이다
특히 젊은 인구 선호 생태계조성은 농촌지역에 젊은인구 유입으로 청년들의 자긍심을 높이고자 이웃사촌 청년 시범마을 조성, 청년커플 창업지원, 도시청년시골파견제, 청년 창농기반지원, 여성의 취·창업 지원강화, 경력단절 없고 차별없는 여성일자리, 신혼부부 행복주택 건설 등을 통해 청년들이 돌아오는 생태계를 조성해 나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