낙동강 물길 살리기 사업을 놓고 관련 자치단체와 환경단체 간 입장차가 갈수록 명확해지고 있다.
경북과 대구 등 영남권 5개 시·도지사는 홍수방지와 수질개선을 위해 하천정비를 통한 낙동강 물길 살리기 사업의 필요성을 역설한다. 반면 운하 백지화 국민행동 경남본부 등 환경단체는 운하와 연계될 대규모 토목공사로 경기를 부양하겠는 얕은 생각에 지나지 않는다며 맞받아치고 있다.
영남권 5개 시·도지사가 낙동강 물길 살리기의 필요성으로 맨 먼저 앞세우는 것은 매년 반복되는 홍수피해를 예방해야 한다는 것.
영남권 자치단체는 "낙동강은 매년 반복되는 홍수로 피해 규모가 연간 사망 21명, 이재민 5389명, 재산피해액 6788억원에 달한다"며 "대규모 하천정비를 통해 피해를 예방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환경단체는 홍수 원인에 대한 객관적이고 투명한 분석부터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그동안 홍수 예방 사업이 제방축조나 사방댐, 호안 조성 등 난개발성 정책이어서 '치수'에 적합하지 않았다는 것.
영남권 지자체 주장에 따르면 낙동강은 만성적인 수량부족과 퇴적된 오염물질, 오폐수 유입 등으로 갈수기에는 3급수까지 수질이 악화되고 있다. 때문에 하천 본래 기능 복원에 중점을 두고 물길 살리기 사업을 전개해야 한다는 논리다.
반면 환경단체는 "자치단체의 주장은 운하용 보(댐) 설치를 통한 수량 확보로 수질을 개선하겠다는 것"이라며 "수질개선의 기본은 하천으로 유입되는 오염물질을 저감하는 것이 우선"이라는 주장이다.
영남권 자치단체는 낙동강 물길살리기 사업이 수도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낙후된 내륙지역의 균형발전을 가져올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대규모 토목사업을 통한 일자리 창출과 지역경제 활성화도 가능하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환경단체는 지자체의 이런 주장에 대해 "토목공사를 빌미로 한 성장개발주의적 사고에 지나지 않는다"며 "낙동강 정비가 어떤 근거로 내륙지역의 발전을 촉진하는 지 근거부터 내놓으라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강을호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