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항시는 올해 사회복지분야에 지난해보다 19% 늘어난 2,224억원(일반회계 1,800억, 특별회계 424억)의 예산을 투입. 서민생활안정을 위한 다양한 민생대책에 나선다.
특히 위기가구민생안정에 주력하고 있다. 세계적인 경제위기속에 갑작스레 찾아온 실직과 휴폐업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이들 가정에 대해서는 기존 복지 지원체계로는 한계가 있다.
이에 따라 포항시는 신빈곤층 서민생활안정 대책으로 주 소득자의 사망, 가출, 행불, 가정폭력, 영세 사업자의 휴 폐업, 질병, 부상 등의 경우에도 생계를 지원하는 내용의 긴급지원대상을 확대키로 했다.
또한 기초생활보장 분야에서도 최저생계비 기준을 지난해 4인 가구 기준 월 127만원이던 것을 133만원으로 인상하고 총 재산기준 완화, 부양의무자 재산기준도 완화해 지원대상의 폭을 넓힌다.
이와 함께 민생안정추진단을 통해 오는 2월까지 비수급 빈곤층을 적극 발굴, 일자리와 무보증 신용대출 지원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또한 시는 도움을 필요로하는 위기가정에 바우처(서비스 이용권)를 제공하는 복지바우처사업도 추진한다.
주요사업 내용은 노인 돌보미 사업, 중증 장애인 활동보조사업, 산모ㆍ신생아 도우미 사업, 가사ㆍ간병사업, 지역사회 서비스투자 사업 등이다.
저소득 노인, 장애인, 산모, 아동 등을 위한 바우처사업은 복지효과와 함께 신규 일자리 창출도 가능해 실업난 해소에도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이밖에도 놀이터 관리, 교통지킴이, 등 어르신 일자리를 확대하고 여성과 장애인 일자리를 확대하는 등 공공 일자리 사업에도 전력을 다할 계획이다.
한편 지난 8일부터 민생안정추진단(지원팀)이 구성된 이후 위기가구 발굴 및 지원 현황은, 발굴신청 463건에 지원건수는 356건에 이르고 있다.
지원내역은 긴급지원과 기초생활보장 수급자 책정과 지자체 지원, 민간후원 등으로 이뤄져 있다.
시 관계자는 “적극적인 실태조사 등을 통해 생활이 어렵지만 제도적으로 보호받지 못하는 복지사각 취약계층 가구와 실직 등으로 생계가 어려운 가구에 대한 관리와 지원에 특히 힘쓸 방침”이라고 밝혔다.
배동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