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원 짜리 하나 들고 슈퍼가도 사먹을 게 없고 만원 짜리 한 장 들고 마트를 가도 살 것이 없는 게 요즘의 현실이다” 28일 안동시 옥동 부근 마트에서 만난 한 주부는“물가가 올라도 너무 많이 올라 장보는 것이 두렵다”고 하소연 했다. 최근 글로벌 경기 침체로 주요 선진국의 물가는 큰 폭으로 떨어지고 있지만, 유독 우리 물가는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다. 특히 서민 생활과 직결되는 식료품과 유류 등의 물가가 내리지 않아 서민의 고통이 가중되고 있다. 지난달 29일 경제협력개발기구와 기획재정부 통계청 등에 따르면 OECD 30개 회원국의 지난해 11월 물가상승률은 2.3%로 그해 고점인 7월에 비해 절반 이하로 뚝 떨어졌다. 물가 상승을 부추겼던 국제 유가와 곡물가격이 크게 하락했기 때문이다. 같은 기간 미국은 5.6%에서 1.1%, 일본은 2.3%에서 1.0%, 중국도 6.3%에서 2.4%로 급락했다. 반면 우리나라는 5.9%에서 4.5%로 1.4%포인트 하락하는데 그쳤다. 국제 유가와 원자재 값이 급락한 이후에도 물가가 거의 떨어지지 않은 셈이다. 서민들을 더욱 화나게 하는 것은 생필품가격이다. 지난해 생활물가는 5.4% 올라 전체 물가상승률인 4.7%를 웃돌았다. 서민들이 즐겨 찾는 자장면, 라면 등의 가격이 10% 이상 급등했고, 밀가루(59.9%), 간장(24.6%), 닭고기·달걀(21.9%), 돼지고기(17.1%) 등도 올랐다. 이처럼 기본 먹을거리의 가격이 급등하면서 서민들은 외식은 물론이고 장보기도 겁이 날 지경이다. 하지만 정부는 책임을 환율로 돌리고 있다. 원화가 떨어지면 달러로 구입하는 원자재 가격이 올라 물가에 고스란히 반영될 수밖에 없다고 설명한다. 그러나 지금 같은 최악의 불경기에 각종 지원정책도 중요하지만 물가를 잡는 것 또한 시급하다. 소득은 늘지 않고 오히려 줄어들고 있는 가운데 물가만 치솟는 것은 결국 서민들의 소득을 박탈하는 것과 다름이 없다. 서민들이 더 이상 박탈감을 느끼지 않도록 정부는 물가 관리에 심혈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윤재철 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