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대학교 이기수 총장이 '학생 선발에서 과거 고려대 입학생 배출 실적을 감안하겠다'고 밝혀 '고교등급제' 도입이 아니냐는 논란이 일고 있다. 이 총장은 지난달 29일 "2012학년도 입시부터 총 정원의 5배수를 수능성적만으로 선발한 뒤 교장 추천과 사회봉사, 교내외 활동경력 등을 반영해 최종 선발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며 "교장 추천을 받을 때 과거 고려대 합격자 수를 감안할 수 있다"고 말했다. 과거 고려대 합격자 수를 수치화해서 신입생 선발에 활용한다면 사실상 고교등급제를 적용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특히 선배들의 입학성적을 후배들까지 적용하는 것이어서 '연좌제' 논란을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고려대 측은 입학실적을 참고로 할 수 있다는 뜻일 뿐이라며 해명에 나섰지만 논란은 가라앉지 않고 있다. 고려대는 4일 해명자료를 통해 "이 총장의 발언은 전형방법의 예를 들어 설명하는 과정의 일부였을 뿐 고교등급제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며 "대학입시가 자율화되는 2012학년도 이후에는 공교육을 정상화시키는 방향으로 입시제도가 결정돼야 한다는 취지였다"고 해명했다. 고려대 관계자는 "현재 2012학년도 입시제도와 관련한 세부내용은 다각적 방법으로 연구 중"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나 고교등급제에 대해 비판적은 목소리를 내왔던 정치권과 교육관련단체들은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이 총장의 발언에 대해 민주노동당 권영길 의원은 "고려대가 그동안 음성적으로 진행해오던 고교등급제를 대놓고 하겠다고 나선 것"이라고 주장했다. 권 의원은 "입학실적을 바탕으로 고등학교를 등급화 해 꼬리표를 붙이겠다는 발상"이라며 "결국 입시연좌제를 실시하겠다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도 성명을 통해 " 현재 금지되고 있는 고교등급제를 실시하겠다는 입장을 명백히 밝힌 것"이라며 "헌법이 보장하고 있는 기회균등의 원칙을 부정하고, 학벌연좌제를 통해 자라나는 학생들에게 카스트제도를 적용하겠다는 이야기"라고 비난했다. 전교조는 "고려대 수시입학의 고교등급제 적용의혹 진상 조사를 진행하고, 이번 고려대학교 총장의 발언에 대해 엄중 조치해야 한다"고 교육과학기술부와 대교협에 촉구했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