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국장 고구마 민들레는 요즘 항암 민간요법으로 주목받고 있는 세 가지 대표적 음식이다. 이들 식품으로 암치료에 효과를 봤다는 구전홍보나 광고홍보가 많다. 민간요법으로 몇 달 째 이들 식품을 먹었더니 암이 뿌리째 빠지지는 않았지만 호전됐다는 내용들이다. 이를 놓고 의사들은 애초 암 진단이 잘못됐거나,환자의 삶의 의지가 강하면 플라시보 효과로 인해 잠시 효과를 볼 수 있으나 오래가지 못한다거나 일반화할 수 없는 내용이라고 설명한다. 민간요법은 보조적인 치료수단으로서 특정 식품을 소량 투여하는 것은 별 문제 없으나 주된 치료제를 끊을 만큼 효과가 강한 경우는 없으므로 신중하게 판단해야 한다. 자료정리 - 김무성 기자 ◆청국장 원재료인 콩의 유익성에 발효식품으로서의 효과가 더해진다. 동의보감에 콩은 보신에 좋고 위장의 열을 제거해 복부팽만을 없애주며 대소변의 배설을 돕고 뱃속과 장의 탁한 기운을 다스리며 종기를 제거하는 효과가 있다고 씌어있다. 영양소로는 식물성 단백질이 풍부하고 철분과 비타민B도 적절히 들어있다. 항암효과의 주된 작용은 식물성 에스트로겐인 이소플라본으로 주로 제니스테인,다이드제인,글리시테인 등 3가지 형태로 존재한다. 이들 성분이 유사 여성호르몬처럼 작용해 오히려 유방암을 부추긴다는 논란도 있지만 아직은 유방암을 억제한다는 주장이 우세하다. 콩을 많이 섭취하는 일본 중국 한국 인도네시아 등에서 유방암 전립선암 대장암 등의 발병률이 서구에 비해 많이 낮다는 통계도 여러 차례 나왔다. 콩을 발효시켜 만든 청국장과 된장은 한의학적으로 해열작용 및 식품의 독과 수은 독을 해독하는 효능이 있다. 청국장은 콩보다 항암 및 항산화 효과가 낫다. 발효과정에서 콩의 제니스틴이 제니스테인으로 전환되면서 더 많은 항암물질이 생성되는 것으로 연구돼 있다. 콩 발효식품은 오래된 것일수록 항암효과가 좋은 것으로 추정된다. 청국장과 낫토(일본식 청국장) 중 어느 쪽이 더 나으냐,청국장을 찌개를 끓여 음식으로 먹느냐 아니면 분말 등 제품화된 것을 복용하는게 좋으냐 하는 문제는 큰 차이가 없되 개인적 취향에 따라 고려될 사안으로 보인다. ◆고구마 조선시대 영조 때부터 한국에서 본격 재배된 고구마는 구황작물에 불과했지만 지금은 간식을 넘어 항암식품으로 대접받고 있다. 무엇보다 일본 도쿄대 의과학연구소가 고구마의 발암 억제율이 최대 98.7%로 가지 당근 샐러리 등 항암효과가 있는 채소 82종 중 단연 1위라는 연구결과를 내놓으면서 주목받았다. 고구마엔 항산화 항암효과를 내는 안토시아닌과 베타카로틴,글루타치온,비타민C와 E가 풍부하다. 베타카로틴은 비타민C와 공존할 때 효과가 더 커지는데 고구마에 함유된 비타민C는 전분질에 쌓여 있어 조리할 때 열을 가해도 잘 파괴되지 않는다. 항암효과를 내는 주역인 안토시아닌과 베타카로틴은 각각 보랏빛 고구마 껍질과 노란 속살에 풍부하므로 껍질을 벗겨내지 않고 먹는 게 좋다. 하지만 껍질 채 먹는 것은 실천하기 어려운 게 문제다. 안토시아닌은 베리류(나무딸기) 가지 포도 사과 등에 풍부하며 항산화 항염증 효과가 우수해 심혈관질환이나 당뇨병 관절염 암 등의 발병위험을 낮추는 데 유효하다. 게다가 고구마는 함유된 칼륨 덕분에 혈압을 낮추는 데 효과적이고 생것으로 먹으면 혈당강하 효과가 우수하며 섬유질이 풍부해서 변비 예방에 좋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많이 먹으면 '아마이드'란 화학구조가 장속에서 이상발효를 일으켜 속이 부글거리거나 가스가 차고 변비가 오히려 악화되기 쉽다. 이런 경우에 펙틴이 풍부한 사과나 동치미 등을 함께 먹으면 훨씬 소화가 잘 된다. ◆민들레(포공영) 민들레는 한약명으로는 포공영(蒲公英)이다. 해열 및 해독 작용과 뭉친 것을 풀어주는 작용이 강해 예부터 여성의 유선염이나 유방암 등 염증성 질환이나 부인과 질환에 많이 사용돼왔다. 아라비아나 아메리카 원주민도 암을 비롯한 다양한 질병에 민들레를 썼다. 최근엔 세포실험에서 유방암과 전립선암의 암세포 성장과 침입을 방해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항간에서는 민들레를 달인 물의 쓴 맛과 경구용 항암제의 맛이 비슷하다며 항암효과가 좋다고 믿는 사람들이 생겨나고 있기도 하다. 민들레는 성질이 차기 때문에 몸이 냉한 사람은 물론 그렇지 않은 사람도 장기간 다량 복용하는 것은 좋지 않다. 자생종 민들레는 약성이 높지만 수십년 전부터 유입된 서양 민들레는 그렇지 않아 구별해야 한다. 농촌의 길가 대로변에 있는 상당수의 민들레가 서양종이라고 한다. 민들레꽃 및 일편단심 민들레의 유래 경상북도 경주에는 민들레꽃에 관해서 이러한 애틋한 사연의 이야기가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 ≪옛날에 한 노인이 민들레란 소녀와 단 둘이서 살았다. 노인은 칠십이 넘어서 허리가 활 같이 구부러졌지만 아직도 기력이 정정하여 들로 다니면서 일을 하였다. 그래서 두 식구는 먹을 양식을 걱정하지 않고 지낼 수 있었다. 손녀 딸은 나이가 열 일곱 살로 꽃봉오리처럼 피어 오르는 처녀가 되어 욕심을 내지 않는 이가 하나도 없었다고 한다. 욕심을 내는 사람중에는 '덕'이라고 부르는 더꺼머리 총각은 노인의 손녀 딸을 아내로 삼고 싶어서 열렬히 사모하고 있었다. 덕이는 나무를 하러 산으로 가다가 운이 좋아서 민들레와 마주치면 몸가눌 바를 모르고 나무 지게를 쓸데없이 두드리는 것이 고작이었다. 그러나 덕이는 민들레의 생각으로 병이 날 지경이었다. 덕이는 이렇듯 그리움 속에 애틋하게 원하던 민들레와 생각지도 않게 한집에 살게되는 행운을 갖게 되는 일이 벌어졌다. 노인의 집은 냇물과 가깝기 때문에 조금만 비가 와도 집으로 물이 들어왔다. 그런데 오랫동안 장마로 온통 물바다가 되어서 노인의 집이 떠내려 갈 지경이 되었다. 그대서 덕이는 노인에게 자기 집으로 피난을 오라고 권고했다. 노인은 아무말 없이 손녀 딸을 데리고 덕이의 집으로 피난을 왔다. 민들레와 한집에서 살게 되자 덕이는 그토록 그리워 하던 민들레를 자기 품에 안고 넘어서는 안될 선을 넘고 말았다. 이제 둘 사이는 남남이 아니었다. 덕이는 사람이 성실하고 근면하여 혼례식을 치루지는 않았지만 노인을 모시고 민들레와 함께 살았다. 그러나 양식은 언제나 넉넉하여 남부럽지 않게 살았다. 그런데 꿀 같은 생활을 하고 있을 즈음, 나라에서 처녀를 뽑아 간다고 마을을 샅샅히 뒤지기 시작하였다. 이유야 어쨌든 얼굴이 반반한 처녀를 무조건 잡아 가는데 민들레 아가씨도 뽑혀가게 되었다. 군졸들이 그녀를 데리고 가려고 하자 덕이와 노인이 길길이 뛰었지만 소용이 없었다. 민들레는 가지 않으려고 발버둥을 쳤다. 마침내 그녀는 가슴에 품었던 푸른 비수를 꺼내서 스스로 자기 목숨을 끊어 죽고 말았다. 그녀가 자결을 하자 그 곳에서 난데 없는 꽃 한 송이가 피어 났는데 사람들은 사랑을 못 다하고 죽은 민들레의 넋이 꽃으로 되어 피었다고 민들레 꽃이라고 불렀다는 것이다.≫ [1972년 박영준씨가 쓴 한국의 전설 10권 중 제 6권 166~167면] 민들레 아가씨가 한 남자만을 사랑하고 정조와 순결을 지키기 위해 자결한 것 처럼, 일편단심(一片丹心)은 한자로 '한조각 붉은 마음' 즉 흔들림없이 오직 외곬으로 향한 충성된 마음 또는 충절을 지키는 것, 정조나 절개를 지키기 위해서 임향한 변치 않는 마음을 가리킨다. 부도덕이 홍수를 이루고 성이 문란한 현 세상에서 "일편단심 민들레" 같은 남녀의 순결한 사랑을 배양해야 할 것이다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