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에서 예부터 고래로 산갈치 (山刀魚)라 부르던 전설 속에 어종이 잡혀 화제가 되고있다. 지난 10일 오전 10시 30분쯤 도동리 주민 박수덕(49·울릉농민후계자집센터운영)씨가 도동항에서 낚시로 잡았다. 이 물고기의 길이는 1m 38cm 이며 몸통길이가 22cm였고 일반 칼치에 비해 크며 몸통 앞부분이 도끼를 연상시키듯 크며 두꺼웠다. 자세한 어종을 알아보기 위해 울릉수산사무소에 문의해본 결과 아열대 심해어종인 산갈치였다. 수산사무소 자료에 의하면 산갈치는 갈치와 비슷하지만 심히 측편 되어 띠모양으로 길게 연장돼있고 머리 등쪽은 칼 모양으로 얇고 그 외곽은 눈 바로 위가 위로 솟아 있는게 특징이다. 또 상반부는 갈치에 비해 두껍고 크며 하반부에서 꼬리 쪽으로 갈수록 길이가 현격히 줄어들며 눈이 크다. 유체 어류로 분류중인 산갈치는 대서양의 유럽 아프리카 연안과 일본의 토사와 카고시마, 우리나라의 포항, 후포연안에서 어획한 보고가 있고 자주 목격되는 어종이 아니다. 예부터 전해내려오는 전설에 의하면 산갈치는 한달 중 보름(15일)동안 산에서 나머지 보름은 바다에 서식하면서 산과 바다를 날아다닌다고 전하며 나병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고 해서 비싼 값으로 매매됐다고 한다. 조준호 기자
주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